Part 2 교회사역이야기/꿈꾸는교육공동체 183

[ 부모교육 67 ] 가만히 앉아서 예배하는 훈련

예전에는 영유아 아이들이 예배를 드릴 때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뛰어다니며 돌아다니는 것이 참 예뻤다. 부모가 예배드리는 그 자리에 함께 하는 것이 참 좋으니까.... 그런데 요즘 생각이 조금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 영유아 아이들이 예배드리는 동안에는 가만히 앉아 있는 훈련을 시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뛰어다니고 싶고, 놀러다니고 싶지만 가만히 자리에 앉아서 예배드리는 훈련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혼과 육이 영에 순종하는 훈련이다. 사실 이러한 훈련을 시키는 곳은 없다. 자기가 원하는대로 하고, 그것을 방해하거나 제지하면 그 곳에 안 간다. 아이들에게 원칙과 기준을 가르쳐 주는 곳이 없다. 가정도, 학교도... 그 어디에도.... 그러기에 자녀들은 성장하면서 늘 자기 마음대로 하면서 살아간다. 해야 하는..

[ 부모교육 66 ] 피할 수 없는 곳에서 변화는 일어난다

꿈꾸는교육공동체가 시작될 때 여러 부모들의 걱정은 아이들이 적은데 교우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겠냐는 것이었다. 청소년기는 친구와의 관계가 중요한데 그러한 관계가 너무 줄어들기 때문에 염려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1년 반의 시간을 보내면서 학생 수가 적은 것이 더 좋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반 학교에서의 관계는 결국 내가 보고 싶으면 보고, 보기 싫으면 안 보면 된다. 그런데 그 시간을 통해 관계의 틀은 만들어진다. 아니... 이미 그 관계는 초등학교 때부터 만들어진 관계의 틀이다. 편견이 더 커질 수 밖에 없고, 자기 중심성은 더 깊어질 수 밖에 없고, 그 가운데 깨어진 관계의 모습이 나타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꿈꾸는교육공동체서는 피할 수가 없다. 불편해도 만나야 하고, 좋아하는 사람하고..

[ 부모교육 65 ] 부모부터 믿음의 돌파를 하라

2023년 1학기가 마무리되었다. 종강기도회에 나눈 말씀은 '믿음의 돌파를 하라'는 것이었다. 믿음의 돌파는 쉽게 표현하면 내 생각의 틀을 깨어지는 것이다. 우리의 한계는 결국 생각의 한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나의 의지와 힘으로 할 수 없고 하지도 않는다. 오직 믿음와 기도로만 가능하다. 부모의 영적한계가 자녀의 영적한계가 된다. 부모 스스로가 한계를 지어놓은 그 곳이 아이들에게도 한계가 되며 기본값이 된다. 자녀들은 부모의 울타리 안에 살기에... 여러분의 가정에는 어떤 영적한계가 있는가? 내 수고와 노력으로 한계를 넘을 수 없다. 오직 기도와 말씀과 믿음만으로 가능하다. 기도회하면서 부모가 자녀에게 '부모가 돌파해야 할 믿음의 영역을 나눴다. 그리고 자녀들도 부모에게 나눴다. 이제 시작이다. 자녀보..

꿈꾸는교육공동체 2023 1학기 종강기도회

오늘은 2023년 1학기 꿈꾸는교육공동체 종강 가족기도회가 있었다. 아이들이 앞에서 '왕이신 나의 하나님' 특순을 하는데 옆에서 교감선생님이 울려고 하신다. 그런데 정작 우는 것은 나였다. 그리고 지난 시간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하나님이 주신 어처구니 없는 마음.... 학교.. 그리고 그 마음으로 아이들이 앞에 서 있었다.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하나님이 주신 마음 하나로 시작된 학교. 정말 아무 것도 없는 상황에서 시작되어서 여기까지 왔다. 세상의 눈으로 보면 작지만 하나님은 결코 작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셨고, 오늘 예배를 드리며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복을 풍성히 풀어주시겠다고 했다. 나는 학교의 구체적인 운영에 대해서는 사실 잘 모른다. 다만 부모교육을 하고 아이들에게 1주일에 1시..

[ 부모교육 64 ] 자녀의 행동을 이해하는 관점 새롭게 하기

최근에 많은 아이들이 징계를 받았다. 그것은 너무 감사하고 잘된 일이다. 아이들의 모습을 부모들도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더 깊은 이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녀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해야 할까? 지금 열심히 공부하고 있으면 괜찮은 것일까? 지금 마냥 놀고만 있다면 문제가 있는 것일까? 부모들이 자녀의 행동에 대한 믿음의 관점이 필요하다. 인간은 영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적인 것은 이미 설명을 했기에 적용으로 들어가보면, 영은 혼을 다스리고, 혼은 육을 다스리도록 창조하셨다. 그런데 혼이 영을 거스르면, 다시 말하면 하나님 자리에 있으면 자연스럽게 혼은 부정적 감정이 일어난다. 그것이 불안함 일수도 있고, 두려움일 수도 있다. 그러면 그것이 육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 부정적인 감정을 풀어내야 하..

꿈꾸는교육공동체 어머님들과 모임

꿈꾸는교육공동체 어머님들과의 모임.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길을 걸어가는 어머님들... '나라면 이렇게 갈 수 있을까?' 생각하지만 쉽지 않았으리라. 치열한 믿음의 싸움을 하면서 여기까지 왔다. 그리고 아이들의 성장을 보고 다음 스텝을 향한 걸음을 바라보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정말 잘 자랐으면 좋겠다! 아니 분명 잘 자랄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진리이며, 그러기에 가장 강력하기에... 주신 걸음이 여기라면 여기에 내 마음을 던지는 것도 당연하리라....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할 수 없겠지만 주신 시간만큼은 최선을 다하는 걸로.. 어머님들께 고마움을 전하며...

[ 부모교육 63 ] 부모가 자녀에게 이야기해줘야 하는 시험의 의미

다음 주부터 기말고사가 시작된다. 1학기는 영적 성장의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는 시간이었다. 아이들의 죄된 습관들이 드러나고, 자신들도 그것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며 나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아이들은 결국 '공부'라는 것을 직면하게 되고, '시험'을 치뤄야 한다. 하지만 '시험'이라는 현실 앞에서 아이들의 죄된 모습은 또 드러난다.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줘야 하는 시험의 의미는 무엇일까? 첫째, 시험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좋은 점수를 받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다. 몇 점 맞았느냐에 초점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너의 죄된 습관을 '시험'을 통해 훈련받는 것이다. 둘째, 시험은 너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예배이다. 좋은 성적을 받고,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 부모교육 62 ] 자녀가 여러가지 상황으로 깨지는 것(?)을 두려워마라

자녀가 힘들 때 부모는 자녀에게 '견디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 순간에는 말할 수 없고, 말해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지난 시간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견디라'고 해도 견딜 수 없기에... 지금 세대는 자기 앞에 만나는 어려움을 이겨 낼 힘이 없다. 어려움을 만나면 피하고 도망가고 외면한다. 왜 그럴까? 성장하면서 깨질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집안에서도, 학교에서도, 교회에서도... 그 어디에서도 아이들의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다.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선생님의 권위를 넘어섰기에 안되고, 교회에서는 옮기면 그만이기에 말하지도 않고 듣지 않고, 집에서는 자녀의 잘못을 부모의 감정으로 대처하고.... 그러다보니 아이들은 자신의 잘못을 지적당하지도 않고, 지적당하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학교다니는 동..

[ 부모교육 61 ] 징계는 영적흐름을 새롭게 하기 위함이다

꿈꾸는교육공동체는 나름대로의 '교칙'이 있다. 물론 일반 학교의 관점에서 보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다. 충분히 그럴 수 있는 것이고, 어찌보면 지금 아이들에게 너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모습이기에.... 그런데 교육공동체에서는 '교칙'으로 금지하고 있다. 또한 그 '교칙'을 어기면 '징계'를 받게 한다. 초반에 부모들은 이 '징계'에 대해서 무척이나 불편해한다. 자녀의 징계가 부모의 징계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굳이 그러한 징계를 받을 필요가 있냐는 것에 대해 그러한 교칙과 징계가 합당한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하지만 부모들이 먼저 '징계'에 대한 이해를 가져야 한다. 교칙이 맞느냐, 틀리느냐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 아이들이 그 공동체 안에서 그 교칙을 준수하느냐는 문제이다. 자신에게..

[ 부모교육 60 ] 자녀의 '영'에 관심을 갖고 기도하라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실 때 영에 혼이 순종하며, 혼에 몸이 순종하게 하셨다. 그 흐름대로 살아갈 때 하나님 창조하신 모습 그대로 살아가게 된다. 우리 자녀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공부하는 자녀들에게는 '혼'과 '몸'이 중요하다. 부모들도 거기에 집중하며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영'이 정돈되지 않으면 '혼'과 '육'이 건강할 수 없고, '혼'과 '육'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없다. '영'이라고 하면 쉽게 말해 보이지 않는 세계이다. 그것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말한다. 아무도 보지 않을 때, 바로 그 때의 모습이 자녀들의 '혼'과 '몸'에 영향을 미친다. 공부가 되지 않고, 감정적 요동이 있고, 의지가 몸을 이기지 못할 때는 자녀의 '영'에 대해 살펴보고 기도해야 한다. 하나님 앞에서 정체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