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4 주제별 이야기/뇌(Brain) 10

[BOOK]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뇌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참 놀랍고 신기할 뿐이다!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왜 뇌는 당신의 뇌처럼 진화했을까? 누가 봐도 확실한 답은 ‘생각하기 위해서’다. 우리는 흔히 뇌가 일종의 ‘상향 진보’ 방식으로 진화했다고 추정한다. 말하자면 하등동물에서 고등동물로 진화해서 피라미드 맨 꼭대기에는 어떤 동물들보다도 더 정교하게 설계된 ‘생각하는 뇌’인 인간의 뇌가 있다는 식으로 가정한다. 결국 생각하는 것이 인간이 가진 최고의 힘이니 말이다. 그렇지 않나? 하지만 이 명백한 답은 틀린 것으로 드러났다. 사실 우리 뇌가 생각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발상은 인간 본성에 대한 엄청난 오해들의 근원이 되어왔다. 그 소중한 믿음을 내려놓았다면, 당신은 뇌를 이해하는 길에 첫발을 내디딘 셈이다. 우리 뇌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

[BOOK]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합니다

공부하다보면 모든 것이 연결된다는 생각을 한다. 과거에는 습관 때문에 뇌를 공부했는데, 요즘에는 영적인 부분 때문에 '뇌'에 대한 공부를 한다. 책을 읽으면서 놀랍다는 생각 밖에는 없다. 진리의 한 부분을 책을 통해서 보게 되고,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영적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도 더 선명하게 알아가게 된다. 그것도 뇌과학을 통해서....;;;; 이미지 출처 : https://www.facebook.com/photo/?fbid=586559087019757&set=pcb.586559210353078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합니다 | 질 볼트 테일러 - 교보문고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합니다 | V 아마존 최장기 베스트셀러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자의 신작 V 뇌졸중에 걸린 뇌..

[summary] 기억의 뇌과학

최근에 읽었던 책 중에 가장 임팩트가 있는 책이었다 물론 내 관심사가 '몸'이다보니 그럴 수 있지만 너무 많은 인사이트와 정보를 주었다. "우리는 누구나 오래 살고 싶어 한다. 하지만 85세의 당신 모습을구체적으로 상상해보시라. 어떤 모습일까? 85세 노인들 중에서둘의 하나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있다. 당신은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그렇다면 당신은 그를 돌보는 보호자로 살고 있을 것이다." part1 기억의 과학 25. 1953년 수술로 해마에 손상을 입은 헨릴에게 그날 이후 새로 사전에 등재된 그래놀라. 자쿠지, 노트북 컴퓨터 같은 단어들은 영원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어떤 일이 벌어져도 단 몇 분 후면 아무 것도 기억하지 못했다. 다시는... 26. 기억의 생성은 말 그대로 뇌를 변화시킨다..

[공부]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제 1부 배움이란 무엇인가? - 배움이란 무엇일까? 실제로 배움은 현실의 일부를 움켜쥐어 그걸 뇌 안으로 가져오는 것이다. 인지과학에서 배움은 마음 속에 세상의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 배움의 정의는 무엇일까? 내가 내리는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배움이란 외부 세계의 내부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01 배움의 7가지 정의 - 배움이란 마음 속 모델의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 배움이란 조합 폭발을 활용하는 것이다. - 배움이란 에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 배움이란 가능성들의 공간을 탐구하는 것이다. - 배움이란 보상 기능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 배움이란 검색 공간을 제한하는 것이다. - 배움이라 선험적 가설을 투영하는 것이다. 02 우리의 뇌는 왜 기계보다 잘 배울까? -..

[습관] 결국 성취하는 사람들의 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장 뇌가소성이란? 사용할수록 강화 하는 뇌 BTS도 뇌가소성을 사용했다 … 21 /진시황이 찾는 불로초 … 24 /매트릭스가 현실이다 … 26 천재가 부러워요? … 27 현대인의 뇌가 죽고 있다 풍요속의 빈곤한 뇌 … 31 /뇌는 지쳤다 … 34 /스트레스가 뇌가소성을 죽인다 … 36 뇌가소성의 비밀 뇌가소성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 40 /조상들은 언제부터 뇌를 알았을까? … 44 한강의 기적을 이룬 대한민국의 뇌 … 46 뇌가소성이 있다 어른의 뇌는 변하지 않을까? … 50 /신경세포의 탄생 … 53 /뇌가소성이란? … 56 뇌가소성을 깨워라 … 59 /뇌가소성 전문가가 되자 /뇌는 약하다 … 62 뇌는 부정적이다 … 64 아프다고 송곳으로 머리를 찌른다면? … 65 /거울 속의 나를 아버지라 부른..

[뇌]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p.10 뇌졸중을 겪을 때의 느낌이 어떤지 알고 싶다면 뇌졸증이 찾아온 아침'을 읽기 바란다. 여기서 나는 인지능력이 단계적으로 무너져 가는 과정을 과학자의 눈으로 추적했다. 출혈이 심해지면서 내 인지능력이 어떻게 그 기능을 상실해갔는지 생물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해보았다. 뇌해부학자로서 하는 말인데 나는 뇌졸중을 겪으면서 뇌와 그 작용에 대해 대학에서 배운 것만큼이나 많이 배웠다. 그 날 아침, 나는 내가 우주와 하나가 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따. 그 이후로 나는 인간이 어떻게 신비한 혹은 초자연적인 경험을 하는지를 뇌의 해부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1부 그날, 이후 8년의 기록 p.30 뇌졸중이야. 내가 뇌졸중에 걸렸어. 우아, 이거 멋진데. 나는 인간의 뇌가 현실을 인지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평..

[summary] 습관을 만드는 뇌

p.5 의식과 무의식의 모든 단계에서 뇌가 관여하기에 성격과 습관을 바꾸기 위해서는 뇌가 움직이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뇌의 움직임이 집합적으로 모여 의식 표면에 드러나는 것이 성격과 습관이므로 뇌가 사고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록 그것들을 바끄ㅓ나가기 쉽기 때문이다. p.6 편견과 선입견, 고정관념 등도 뇌가 만들어낸 사고의 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뇌는 효율을 추구하게 되었지만, 매사 자신이 만들어낸 사고의 프레임을 잣대로 삼는다면 인간관계와 일에ㅓ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17 상사뒷담화를 하는 이유? 심리적 지위감을 높이려는 시도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자기 자신을 드러낵 과시함으로 자신을 끌어올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위감이 낮아졌다고..

'정리하는 뇌' 대니얼 레비틴

p.10 문자를 통해 기억이 '외부화'되자 노와 주의 시스템이 자유로워져 인간은 다른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p.31 사회심리학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더 많이 가진 사람이 더 행복한 것은 아니다. 진짜 행복한 사람은 자기가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ㅏ .행복한 사람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늘 '만족하기'를 실천하고 있다. '만족하기'는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한 전략이다. p.32 우리의 뇌는 하루에 특정 개수만큼의 판단만 내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그 한게에 도달하면 중요도에 관계없이 더 이상 판단을 내릴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신경과학의 최근 발견 가운데 가장 유용한 것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우리 뇌에서 판단을 담당하는 신경 네트워크는..

뇌, 하나님 설계의 비밀 by 티머시 R. 제닝스

뇌, 하나님 설계의 비밀 국내도서 저자 : 티머시 R. 제닝스(Timothy R. Jennings) / 윤종석역 출판 : 도서출판 씨유피(CUP) 2015.08.31 상세보기 p.43 하나님의 핵심적, 중추적, 근본적 속성은 다름 아닌 '사랑'이다. 하나님의 속성 자체가 타인 중심의 사랑이시다. p.48 사랑의 서클을 우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것 속에서 볼 수 있다. p.54 성경이 가르치는 그대로 베푸는 것이 곧 삶이다. p.57 두려울 때 우리 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기억하겠지만 학교의 교실 벽에는 조그만 빨간색 금속 상자가 있고, 그 위의 유리판에 '화재 시에 깨드릴 것'이라고 적혀 있다. 학교에도 화재경보기가 있듯이 우리 뇌에도 '편도체'라는 경보 스위치가 있다. 학교의 화재 경보기는 ..

[summary] 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

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 국내도서 저자 : 엘리에저 J. 스턴버그(Eliezer J. Sternberg) / 조성숙역 출판 : 다산사이언스 2019.12.10 상세보기 1. 시각 장애인은 꿈 속에서 무엇을 보는가?? p.27 어밀리아는 세상에 대한 자신만의 정신적 이미지를 만들어야 했다. p.29 인간의 시각이 세상으로 향한 단순한 창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해석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그림이다. 인간의 시각은 뇌가 바깥 세상을 고도로 가용하여 처리한 '표현'이다. p.34 우리가 세상을 볼 때 뇌의 두 시스템은 우리의 지각을 만들어낸다. 한편으로는 무의식계가 패턴을 인식하고 그 패턴을 바탕으로 예측한 다음 지각한 조각들을 끼워 맞출 방법을 추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식계가 무의식의 계산을 받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