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말씀이야기/매일성경묵상 1683

[묵상] 살전 2:17-3:13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는 우리 길을 너희에게로 갈 수 있게 하시오며" 길이신 하나님 -> 길을 만드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나의 길을 만드신다. 내가 가고 서는 것 주님 아래에 있음을.... 결국 내 인생은 주님이 이끌어가시는 것임을...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 생각에 서고, 내 마음에 가려고 한다. 하나님의 흐름이 아니라, 하나님의 길이 아니라, 내가 길을 만들려고 한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길을 만들어주시는대로 따라가기 다른 사람 - 그 사람의 길을 따라가도록 도와주기 더 깊은 묵상으로 사도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를 급히 떠나서 다시 가고 싶었지만 여러 이유로 갈 수 없었다. 그 대신 ..

[묵상] 살전 2:1-16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너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부르시고 세우시는 하나님 -> 그 자리까지 이끌어가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나를 세우시고 그 자리까지 이끌어가신다. 부르심의 자리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 자리까지 다듬어가시고 세워가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세워가시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모습에 낙심한다. 지금이 전부인 것 같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계속 성장해야 할 영역이 어디인지 돌아보기 다른 사람 - 한 사람을 세워가도록 격려하며 응원하기 더 깊은 묵상으로 사도바울은 2장에서 자신의 수고와 노력을 이야기한다. 그렇게 수고하고 애쓰는 이유는 바로 부르시고, 나라와 영광에 합당하..

[묵상] 살전 1:1-10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 구원자이신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나를 구원해주시고, 구원받은 자로 살아가기 원하신다. 이 땅과는 다른 삶의 수준으로 살아가기 원하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마치 이 땅에서의 삶이 전부처럼 생각할 때도 있고, 눈 앞에 있는 현실이 나를 낙심하게 하기도 한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나에게 있어야 할 회심은 무엇인지.... 다른 사람 -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그대로 들어주기 더 깊은 묵상으로 구원받은 자의 삶은 믿음과 소망과 사랑이다. 바로 그것이 하나님 나라의 삶이기도 하다. 또한 세상을 향하여 돌이켜 하나님을 향하는 것이다. 이 땅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바라보는..

[묵상] 레위기 27:16-34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이니라 진리이신 하나님 -> 기준이 되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나에게 기준이 되어주신다. 내 생각과 감정과 마음이 아니라 말씀을 기준으로 살아가기 원하시고, 그럴 때 삶의 문제들을 풀어내며 돌파하게 하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 기준으로 살아가고, 내 죄된 습관이 기준이 된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시간의 십일조를 시작하며 기준 삼기 다른 사람 - 내 판단이 기준이 되지 않고, 하나님의 관점으로 바라보기 더 깊은 묵상으로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은 새로운 기준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준에 내 삶을 맞춰가는 것이다. 이스라엘에서 땅을 거래할 때 기준은 희년이며, 수입에 대한..

[묵상] 레위기 26:40-46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그들의 죄악의 형벌을 기쁘게 받으면 공의의 하나님 -> 항상 옳으신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항상 나에게 옳으시다. 내 생각도, 내 감정도, 내 마음도 옳지 않음을.... 결국 내 죄된 습관들도 하나님을 향하게 하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상황과 현실을 나에게 맞추려고 한다. 내가 옳다고 생각한다. 내 안에 부당하다는 마음도 있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하나님을 향하여 맞춰가기 다른 사람 - 상대방에게 맞춰가기 더 깊은 묵상으로 "그들이 나를 거스른 잘못으로" 자녀들도 하나님의 뜻을 거스른다. 그러기에 하나님으로 징계를 받지만 그것은 멸망이 아니라 살리기 위함이다. 그러기에 회개하고 돌이키면 언제든지 회복..

[묵상] 레위기 26:27-39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그 땅이 황무할 동안에는 쉬게 되리라 선하신 하나님 -> 가장 선하게 만들어가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내가 모르는 곳에서도 선하게 만들어가신다. 내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내 삶을 가장 잘 아시면 가장 합당하게 풀어내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님을... 보이지 않는 곳에 대한 신뢰함이 없을 때가 많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모든 것을 감사함으로 응답하기 다른 사람 - 선하게 풀어가시는 은혜를 나누기 더 깊은 묵상으로 이스라엘이 범죄하여 다른 땅에 끌려갔을 때에도 그 시간이 이스라엘에게는 아픔의 시간이지만 바로 그 시간이 땅의 안식의 시간임을.. 그 땅을 회복하는 시간임..

[묵상] 레위기 26:14-26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그 열매를 맺지 아니하리라" 생명의 하나님 -> 우리에게 열매와 결과를 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순종할 때 열매와 결과를 주신다. 열매와 결과는 노력의 대가가 아니라 순종의 대가이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 삶에 열매가 없는 영역을 돌아보지 않는다. 내가 하나님 앞에서 놓치고 있는 것을 보지 않는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열매가 없는 부분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기 다른 사람 - 상대방에게는 자유함으로, 있는 그대로 대하기 더 깊은 묵상으로 오늘 본문은 불순종할 때의 결과이다. 열매가 없다는 것은 하나님과 관계 속에서 놓친 것이 있다는 말이다. 빠진 것이 있다는 말이다. 내 노력으로 주어지는 열매가..

[묵상] 레위기 26:1-13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이행하리라" 선하신 하나님 -> 그것을 누리기 위해 순종하라 하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의 선하심을 누리기 위해 순종하라고 하신다. 순종할 때 비로소 더 깊이 누리는 은혜가 있다. 물론 넘어가는 것은 힘들다. 하지만 그 시간을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간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어느 영역을 순종해야 하는 것일까? 욕심인지 선한 뜻인지 분별이 참 어려울 때가 있다. 주저하게 될 때가 있다. 그것이 믿음없음인지, 분별하려고 하는 것인지...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내가 순종해야 하는 영역을 되짚어보기 다른 사람 - 순종함이 만나는 이드에게 흘러가도록 더 깊은 묵상으로 "너희가 내 규례와 계명을 준행하면" ..

[묵상] 레위기 25:39-55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이스라엘 자손은 나의 종들이 됨이라" 주되신 하나님 -> 하나님에게만 매이기 원하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내가 하나님에게만 매이며, 하나님만을 섬기기 원하신다. 결국 거기에서 자유함이 나오고, 결국 내 인생을 그렇게 빚어가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하나님 아닌 다른 것들을 붙들려고 하고, 그것이 나에게 주인이 되어 있기도 한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하나님만을 바라보며 집중하기 다른 사람 - 상대를 공감하며, 상대의 흐름에 따라가주기 더 깊은 묵상으로 종으로 살아온 이스라엘, 하나님은 그들을 종에서 구원해주신다. 그러기에 서로에게 자유인으로 대해주기 원하신다. 하나님에게 매이면 세상에 매이지 않는다..

[묵상] 레위기 25:23-38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토지는 다 내 것임이니라" 땅의 주인이신 하나님 -> 내가 서 있는 곳에 하나님이 드러나기 원하신다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내가 서 있는 그 자리 가운데 하나님이 드러나기 원하신다. 내가 아니라 하나님이 하심을....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가 드러나고 있고, 나를 드러내려고 한다. 하나님이 드러나실 때 자유한데.....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하나님의 마음을 구하기 다른 사람 - 하나님이 행하신 일을 나누며 흘려보내기 더 깊은 묵상으로 토지는 하나님의 것이다. 그것은 소유가 아니라 위탁의 개념이다. 맡기신 것이다. 내가 서 있는 그 자리는 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이뤄지도록 맡겨주신 것이다. 내가 서 있는 그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