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4 주제별 이야기 596

[summary] 세계관 수업

1부 세계관 29 동양과 서양은 세상을 달리 본다. 물론 이것은 어느 정도 학습을 통해 바뀌기도 한다. 여기서 핵심은 우리가 사물을 인지하는 방식까지도 동서양이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는 점이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배우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심층에서 작동하는 어떤 매커니즘이 있기 때문이다. 의식의 아래쪽에 있는 구조, 그 심층 구조 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인간이 생각하고 행동할 때, 표층이 아니라 심층에서 우리의 행동을 규율하는 원리는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43 세계관을 갖는다는 것은 자기의 지도를 갖는다는 말이다. 44 세계관은 내가 세상을 보는 틀이기도 하지만, 그것으로 내 자신과 세상을 형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67 세계관..

[창조시대] 02. 깨어진 하나님 나라

타락 에덴동산은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인간은 인간의 자리에서 하나님을 누리며 살면 된다. 그러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기억하기 위해 하나님이 주신 것이 '선악과'이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시니라”” 창세기 2:16-17 선악과는 하나님이 인간을 억압히시기 위함이 아니라, 피조물로서 정체성을 인식하고 하나님 자리가 아니라 인간의 자리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하시기 위함이었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이지, 하나님이 아님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선악과였다. 그런데 뱀은 이렇게 유혹한다.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

[창조시대] 01. 시작된 하나님 나라

[ 하나님 나라 ] 창세기 1:1절은 아무런 설명없이 이 세상에 폭탄같은 문장 하나를 던진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1 성경은 창조의 사건들을 하나씩 이야기하지만 설득하지도 않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없어 보인다. 결국 창세기 1-2장이 보여주는 것은 이 땅을 창조하신 분은 하나님이시다! 이 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다! 바로 그것을 선언하고 선포한다. 성경의 주제는 '하나님 나라'이며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창세기 1,2장이다.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실 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 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 말씀하신 것이 그대로 이루어지는 나라이다. 하나님의 마음과 의도와 생각..

[Summary] 보이는 내러티브 설교법

요즘에 'Story'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설교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또한 다른 설교를 시도해보려고 고민하고 있다. Chatper 1 이야기가 삶에 스며들 때 내러티브 설교의 토대 22 성경에서 이야기가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면, 설교자들은 이야기 형태로 기록된 본문을 어떻게 설교해야 할지 분명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내러티브 설교는 신구약 본문에 내재한 이야기 형태의 장르적 특성을 파악해 플롯 형식으로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달하는 설교법이다. 내러티브 설교란? 신구약 본문에 내재한 이야기 형태의 장르적 특성을 파악해 플롯 형식으로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달하는 설교법이다. 이야기 : 어떤 발생한 사건을 제시하는 것 내러티브 : 그 이야기를 적절한 전달 방식을 사용해 재제시하는 것. 25 성..

모든 교육은 존재교육이다

이번 주 토요일부터 2주간 시작되는 교육공동체 비전나눔을 위해 어제는 하루 종일 그 부분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했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은 모든 교육은 존재교육이라는 것이다. 교육이 중요한 것은 어떤 사람으로 만들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서 교육하는 것이기에 어떤 교육은 어떤 '세상'과 연결된다. 결국 교육은 '세계관'과 연결된다. 교육은 그 세계관의 이데올로기를 제공하고, 그 세상에서 살아가는 상식을 습득하게 한다. 공교육은 '자본주의'를 위해 시작되었다. 영국에서도 18세기 초까지 교육은 개인의 일이었지만 산업혁명과 사회구조가 바뀌면서 공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미국에서도 '테일러'로 인하여 교육제도 자체가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영국과 미국 등 각 나라에서 공교육이 시작된 시..

[퍼옴] 기.승.전.결

글쓰기나 스토리텔링의 구조를 이야기하면서 자주 등장하는 것이 '기승전결'이다. 기승전결은 한시를 지을 때 자주 사용하던 동양적인 구성방법이며 이야기가 시작되고 전개되고 끝나는 진행순서를 의미한다. 논설문 등 다른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되는 도구이다.​ 기(起): 한자로는 '일어날 기', 즉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열어가는 시작이다. ex) 이도령과 춘향이는 사랑하는 사이임 승(承): '이을 승', 내용을 본격적으로 이어가는 부분이다. 갈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ex) 변사또의 수청을 거절한 춘향이 옥에 갇힘 전(轉): '구를 전', 갈등과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게 된다. ex) 이도령이 과거에 급제하고 암행어사가 되어 변사또를 벌하고 춘향을 구함 결(結): '맺을 결', 갈등이 해소되고 이야기가 마무리 되며 ..

[summary] 세상과 나를 위한 하나님의 디자인

13 창세기 1,2장은 세상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위치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의 핵심적인 기초를 제공한다. 창세기 1,2장은 현재의 삶뿐만 아니라, 다가올 세상, 하나님이 새롭게 창조하실 세상에서 누리게 될 우리 삶의 청사진을 제공한다. 창조 : 하나님이 만물을 만드셨다. 타락 :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반역으로 하나님의 완벽한 창조 세계가 훼손되었다. 구속 : 사랑의 하나님이 자신의 아들 예수를 통해 만물을 회복할 계획을 실행하기 시작하셨다. 새 창조 : 하나님의 구원 게획은 예수님이 새 창조를 여시기 위해 재림하실 때 온전히 성취된다. 1. 창조주 하나님 1) 하나님만이 영원하다 : 유물론은 틀렸다. 2) 하나님만이 창조주다 : 우연론은 틀렸다. 3) 하나님만이 주권자시다 - 인본주의는 틀렸다. ..

[이야기] 스토리텔링 애니멀

14 호모 픽투스(이야기하는 인간), 즉 스토리텔링의 마음을 가진 유인언에 대한 책이다. 1. 이야기의 마법 21 이야기는 인간의 삶과 단단히 밀착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오히려 이야기의 신비하고 마술적인 힘에 완전히 둔감해졌다. 24 작가는 상상력을 발휘하는 일들을 대부분 독자에게 떠넘긴다. 사람들은 읽기가 수동적 행위라고 생각한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아 저자가 우리 뇌에 쾌감을 주기만 기다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이야기를 경험할 때 우리의 머릿속은 바쁘게 돌아간다. 26 아이는 무엇할까? 대개는 이야기를 한다. 어른은 다르다. 우리는 일을 한다. 31 깨어 있을 떄에도 우리는 꿈꾸기를 멈추지 않는다. 깨어 있는 시간의 상당 부분, 어째면 대부분은 꿈꾸는 시간이다. 한마디로 여..

스토리텔링의 힘

자동차 회사 미니 쿠퍼가 뉴질랜드의 동물 보호단체(SPCA)와 함께 재미있는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바로 강아지둘에게 운전을 가르친 겁니다. 이 강아지들은 모두 유기견들인데 운전 하는 똑똑한 강아지라는 스토리텔링으로 많은 유기견들이 입양하게 된 성공적인 캠페인이었습니다. 뉴욕에는 홈리스, 구걸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거리에서 쉽게 볼수 있습니다 여기 한 장님이 있습니다. “저는 장님입니다. 도와주세요” 라고 쓰인 싸인을 세워두고 구걸을 하고 있지만 아무도 도와주지 않죠. 이때 한 여자가 다가와서 싸인에 뭐라고 씁니다. 그리고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사람들이 그 싸인을 보고 하나 둘 동전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이 싸인에는 뭐라고 써 있었을까요? “정말 아름다운 날입니다. 그러나 전 볼 수가 없습니다.”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