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451

습관훈련 멤버들과 ZOOM

다음 주부터 습관훈련이 시작된다. 지난 주에는 습관훈련에 대해서... 어제는 말씀훈련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눴다. 나누면서 든 생각은 '정말 훈련을 받지 않았구나!' 그 생각이 들었다. 훈련의 목적은 습관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것으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40일 동안 훈련을 하게 된다. 내 몸의 습관을 건강한 습관으로 훈련하려고 하는 것이다. 40일 후에 그리는 모습은 내가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조차 못하는 거다. 일어나서 자연스럽게 말씀묵상하고, 상상하며 기도하고 하루를 살아가는 것... 바로 그것이 이번 습관훈련의 목표이기도 하다! 모두 화이팅!!

[기도훈련] 기도하며 상상하기

말씀묵상을 통해 하루를 살아가는 삶의 방향이 정해지면 그 다음은 '기도'하는 것이다. 그 방향을 향해 잘 걸어갈 수 있도록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말씀과 기도는 분리되지 않는다. 기도의 방향은 말씀의 방향이 되며 말씀의 방향은 기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한 가지 더 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상상하며 기도하기'이다. 오늘 주신 말씀의 방향대로 살아가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다. 오늘 주신 말씀을 가지고 내가 하는 만남, 프로젝트, 일 가운데 그 방향대로, 진행되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씀 때문에 '상상' 할 수 있다. 이것이 '기도'이다. 우리는 생각과 상상을 구분하지 못한다. 생각은 내 머리의 활동이고, 상상은 다른 것이 내 안에 들어와야 가능하다. 그래서 생각하면 머리..

[묵상] 시편 2:1-12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하늘에 계신 이가.....(3절) 이 땅의 통치하시며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 매고.. 결박하시고.... 내 삶을 매임과 결박의 모습으로 다스리시는 하나님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 끊고.... 벗어버리자... (3절) 하나님께서 주시고, 붙드신 것을 나는 내 마음에 맞지 않는다고 풀어버리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나에게 매고, 결박된 것의 축복을 보기.... 다른 사람 - 매고, 결박된 것이 축복임을 알려주고 나눠주도록.....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한계가 축복인지 보여주실까? 복음을 위해 스스로 결박하고 매인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어떻게 보여주실까? 세상은 자유를 ..

[습관훈련] 40일 습관훈련 과제

주제 : '하루의 첫 습관훈련' 기간 : 5/6-6/20 (월-토, 40일) 5/6일부터 하루의 첫 습관훈련을 진행한다. 하루의 첫 습관을 하는 목적은 이전 글에 참조하면 된다. 하루의 첫 습관을 위해서 해야 할 숙제는 다음과 같다. 1. 수면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을 지킨다. 2. 하루의 첫 습관 내용을 실행한다(최소 말씀묵상과 기도는 포함) 3. 하루를 마무리하면서 '감사일기'를 작성한다. 1번에 대해서는 수면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은 정확한 시간을 하면 좋지만, 그것이 어려울 경우 대략적인 시간은 맞추도록 한다 이 시간을 지키는 것은 하루에 대한 큰 그림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며, 우선순위에 따라 일을 할 때만 가능하다. 다음 주에 관련 글을 올릴 예정이다. 2번에 대해서는 하루의 첫 습관의 핵..

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

p.17 이 책은 이른 바 '인생철학'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쓴 것이다. 즉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해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일종의 지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처럼 어떤 '처방'을 내리려면, 대개는 먼저 무엇이 잘못되어 가고 있는지를 분석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런 식의 접근방식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느지, 혹은 인간이 어때야 하는지에 대한 어떤 이상을 전제로 하고 있게 마련이다. p.19 우리가 인간의 본성에 관한 많은 이론 중에서 특히 어떤 것을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다. 제 1장 유교 : 성인들의 도리 p.33 우주에 관한 이론 - 논어에서는 형이상항보다 오히려 인본주의 쪽이 강조되어 있다. 즉 공자는 기본적인 인류의 안위에 대해서 주로 관심을 가졌던 ..

5/3 주일말씀 '사람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설교노트

본문 : 시편 3:1-6 제목 : 사람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매일성경은 5월에 시편과 하박국, 고린도전서를 나누게 된다. 그래서 이번 주는 시편의 말씀을 나눈다. 이번 주일에 나누게 되는 시편 3편의 제목에는 "다윗이 그의 아들 압살롬을 피할 때에 지은 시"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다윗은 주변의 적들로 인해 아파하고 힘들어하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고 있다. 그런데 전체적인 맥락을 보면 다윗의 고난은 자신 때문에 빚어진 것이기도 하다. 압살롬이 다윗을 향하여 반역을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다윗 자신 때문이었다.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일들에 대해 주변을 바라보며 적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시편은 무척이나 이기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고백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이런 시편의 고백을 통하여..

[기도훈련] 말씀묵상의 방향이 '기도'의 내용이 된다

[하루의 첫 습관훈련]의 핵심은 '말씀묵상'인데 그 이유는 하루 삶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아침에 알려주신 하나님의 성품으로 오늘 하루를 살아내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말씀묵상은 '기도'로 이어지게 된다. 복음에 대한 고백을 하게 되면 삶의 모든 것의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기도이다. 우리가 가진 기도에 대한 몇 가지 오해가 있다. 첫째, 하나님께 기도해야 들어주신다. 둘째, 하나님은 나에게 뭔가를 주고 싶어하지 않으신다. 셋째, 열심히 기도해야 하나님이 들어주신다. 넷째, 응답이 안되면 내 정성이 부족한 것이다. .... 사실 이런 내용들은 굳이 표현하자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내용이다. 결론만을 이야기하자면 기도는 하나님을 누리는 통로이다. 기도는 우리에게 주신 복음을 누리도록 돕..

[묵상] 시편 1:1-6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시냇가에 심은 나무......(3절) 시냇가와 같으신 하나님 모든 생명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 모든 것의 공급자되신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내 인생의 모든 것을 공급해주신다. 나는 하나님으로부터 모든 것을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 악인의 꾀, 죄인들의 길, 오만한 자의 자리 (1절) 내가 공급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내 머리와 계산과 교만함으로 있는 것은 아닌지.......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공급자되어주시는 하나님을 바라보기.... 다른 사람 - 다른 이들에게 공급자가 되어주는 것.... 다른 이들의 필요를 채워주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공급을 해 주실까? 누구에게 공급자가 ..

[말씀묵상훈련] 말씀묵상을 '존재묵상'으로 하기

말씀묵상은 지금까지 '내가 말씀을 본다'고 생각했다. 그러다보니 BAD의 관점에서 말씀을 보는 것이다, 내 마음은 자기 중심적이기에 몇 번 그 행동을 하지만 내키지 않는 행동을 한 것이다. 그러기에 달라지는 것이 없다. 나는 이것을 '행동묵상'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우리가 나누는 것은 '존재묵상'이다. 존재묵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이 누구시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어떤 분이냐가 바로 내 '존재'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내가 어떤 존재인지를 묵상하는게 중요하다. 하나님이 나에게 어떻게 하시는지를 묵상하는 것이다. 여기에 묵상의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 그럴 때 내 행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단순하게 '이렇게 해야겠다'가 아니라 존재에 맞는 행동이 무엇인지를 생각해야한다 존재를 묵상할..

[묵상] 에스겔 47:13-48:35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타국인을 이스라엘 본토에서....(22절) 끝까지 끌어안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 나 역시도 끝까지 끌어안으시는 하나님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 함께 기업을 얻게 하되 (22절) 마음에서 포기하고 내려놓는다. 회복을 위한 기다림이 아니라 정말 마음을 내려놓는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나에게 기회를 주기 다른 사람 - 사람들에게 연락해보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다까지 끌어안게 하실까? 어떤 사람을 마음에 품게 하실까! 다시금 회복되는 이스라엘에서 사는 이방인들은 이스라엘 족속과 같이 여겨진다. 결국 그 안에서 하나되게 하신다. 하나됨은 불가능하다. 그러기에 하나됨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향해 한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