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589

기독교인은 왜 변하지 않는가?

예수님을 믿으면서도 왜 사람들은 변하지 않을까?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복음에서 시작된 변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복음이 마음에 들어오면 '성공하고 싶다! 잘 살고 싶다!'가 아니라 '다르게 살고 싶다! 변화하고 싶다! 이렇게 살 수 없다!' 마음이 든다. 그런데 복음에서 시작된 변화가 아닌 종교활동은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연장선 안에 담겨진다. 그러기에 아무리 교회를 다녀도 변화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둘째, 복음에서 시작되었지만 '훈련'이 되지 않았다. 복음에서 시작되었지만 그것을 삶으로 살아가는 훈련을 하지 않았다. 복음으로 사는 삶이 습관이 되지 않은 것이다. 그러기에 마음에 변화는 있는데, 몸이 따라오지 않으니 더 버겁고 힘들 수 밖에..... 결국 목회는 2가지를 중심..

오늘부터 가정예배 by 도널드 휘트니

머리말 1.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 성경 속 가정예배 2. 개혁은 가정예배에서부터: 교회사 속 가정예배 3. 읽고, 기도하고, 찬송하라: 가정예배의 기본 요소 4. 상황별 가정예배: 이럴 때는 어떻게 예배할까? 5. 영적 유익을 누리고 싶다면: 오늘 시작하라 부록. 소그룹을 위한 토의 질문 주 성경 구절 찾아보기 p.58 가정예배의 기본요소는 성경을 읽고, 기도하고, 찬송하는 것이다. p.66 3가지를 유의하라. 첫째, 짧게 하라. 둘째, 꾸준히 하라. 셋째, 융통성을 발휘하라.

리츄얼 by 신병철

의식과 의례를 뜻하는 리추얼은 심리학에서 긍정적인 기억과 연결시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반복 행위를 말한다. p.8 도널드 듀톤과 아서 아론에 따르면, 인간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순간에 만나는 사람을 매력적이라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p.21 생각의 변화에 행동이 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행동 변화에 따라 생각 역시 변화한다는 것이다. p.26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한 판단에 나의 상태가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내 얼굴 근육의 상태에 따라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한 판단이 달라진다. 결국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바로 나에게 있다고 볼 수 있다. p.38 행동에 생각이 따라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뇌의 인지 작용과 근육작용이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육이 움직이게 되면 이것과 연결..

덕과 성품 by 스텐리 하우어워스

p.27 덕에는 지혜, 정의, 절제, 용기를 가르키는 사추덕과 세가지 신학적 덕인 믿음, 소망, 사랑을 더한 일곱가지 덕이 있다. p.27 덕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의 잠재력을 실현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덕은 과도함과 부족함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 우리의 인격에 좋은 습관이 새겨진 것을 말한다. p.28 덕은 일곱 가지지만 악덕은 열 네가지이게 마련이다. 악덕은 덕의 양극단에 자리 잡은 것들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 믿음 ] p.197 믿음의 핵심은 일련의 신념을 받아들이는게 아니야. 믿음은 덕이야. 즉 교회라는 공동체의 일원이 됨으로써 가능해지는 덕이란다. 그 공동체에서 우리는 신뢰할 만한 사람이 되는 습관을 익히지. 우리가 신뢰할 만한 사람이 된다는 점에 놀랄 필요는 없어. 교회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

미덕이란 무엇인가? by 앙드레콩트-스퐁빌

- 미덕은 바로 우리 인간의 아름다운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지침이다. - 미덕의 본질은 능력 또는 잠재력에 있었으며, 인간과는 무관하게 쓰인 단어들이었다. - 미덕이란 인간의 획득된 지속적 존재 방식이다. - 스피노자에 의하면, 자연스런 미덕이란 없다. 따라서 미덕은 인간적 차원에서 교육되어야 할 아름다운 어떤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 그치면 안된다. 미덕은 말하자면 우리의 존재 방식이자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이다. - 미덕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의 대상이다. - 미덕은 역설적이지만,바로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 필요한 것이다. 1. 예의 2. 성실 3. 신중 4. 절제 5. 용기 6. 정의 7. 후의 8. 연민 9. 자비 10. 감사 11. 겸손 12. 단순 13. 관용 14. 순수 15. 유순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