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589

새로운 시도를 해보며

새로운 시도를 해보려고 준비중입니다. 그 중의 하나는 '목회자의 시간사용'입니다. 목회자들은 시간사용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그런데 그 시간이 '내 시간'이 아니지요. 자유로울 수 있지만 성도들 필요한 시간에 맞춰야 합니다. 돌아보면 휴가 중에 돌아오는 것도 일상이었고.. 쉬는 날 장례를 치는 것도 일상이었고.. 연휴와 명절에는 언제나 선교를 나갔었고.... 성인사역은 오전과 오후가 바쁘고.. 청년사역은 저녁이 바쁘고.. 청소년 사역은 주말이 바쁘고.. 모두가 다른 사역을 하는데 똑같은 시간표대로 사역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로 고민중인데 원칙은 이렇습니다. 첫째, 출퇴근 시간은 자유롭다. 둘째, 모여야 할 시간, 해야 할 일은 놓치지 마라. 셋째, 성도들의 시간에 맞추라. 넷째, 끊임..

김영하 '여행의 이유'

p.51 기대와는 다른 현실에 실망하고, 대신 생각지도 않던 어떤 것을 얻고, 그로 인해 인생의 행로가 미묘하게 달라지고, 한참의 세월을 지나 오래전에 겪은 멀미의 기억과 파장을 떠올리고, 그러다 문득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조금 더 알게 되는 것, 생각해보면 나에게 여행은 언제나 그런 것이었다. p.64 '문학은 어떻게 내 삶을 구했는가'에서 데이비드 실즈는 이렇게 말했다. "고통은 수시로 사람들이 사는 장소와 연관되고, 그래서 그들은 여행의 필요성을 느끼는데, 그것은 행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슬픔을 몽땅 흡수한 것처럼 보이는 물건들로부터 달아나기 위해서다" p.81 무슨 이유에서든지 어딘가로 떠나는 사람은 현재 안에 머물게 된다. 보통의 인간들 역시 현재를 살아가지만 머릿속은 과거와 미래에..

무엇이든 이유가 있다

​ 서울로 오기 전에 제주도에서 사역하는 후배 목사님과 커피타임! 후목 : 형님! 몸 괜찮아요? 고목 : 응~ 아직까지는 괜찮은데 (으쓱) 후목 : 내일까지 봐야 해요. 나중에 아픈 사람 많아요 고목 : 응... (시무룩) 아프지 말아야지 후목 : 이상하네요.. 보통 다음 날 걷지도 못하는데... 고목 : 하도 겁을 먹어서 그랬는지 별 거 아닌던데^^ 후목 : 시간이 얼마나 걸렸어요? 고목 : 더 일찍 올 수 있었는데 다리를 조금 다친 사람이 있어서 오래 걸렸어 후목 : 아... 그래서 안 아픈거네요. 그 분 때문에.... 고목 : 왜? 후목 : 그 분이랑 천천히 다녀서 그래요. 그 분 덕분이에요. 고목 : 아.... 그러기에 서로가 필요하다. 때로는 서로에게 짐이 될 수도 있지만 그 짐을 나눠져야 하는..

공감능력

​ [ 오늘의 설교 ] 공감능력 2008년 카네기멜론 대학교와 MIT 대학교 심리학자들이 성과가 좋은 팀은 어떠한 팀인지 공동연구를 했습니다. 연구결과를 보면 팀워크와 지능지수는 성과와 아무 상관이 없었고,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감능력’이었습니다. 높은 공감능력을 보여주는 팀원이 있을 때, 팀은 높은 성과를 낸다는 겁니다. ‘공감’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힘입니다. 지금처럼 전문화되고 분업화된 사회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하려면 ‘공감’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공감능력’을 가진 한 사람을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공감은 강함이 아니라 약함을 나눌 때 주어집니다. 성공이 아니라 실패를 나눌 때 주어집니다. 기쁨이 아니라 슬픔을 나눌 때 주어집니다. 사회심리학자인..

새로운 제 3의 길

​ 인간은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다. 아무리 정의를 말하고, 아무리 공의를 말하고, 아무리 평등을 말하고, 그 무엇을 이야기해도..... 그러기에 본질은 이기적인 ‘싸움’이다. 그런데 참 놀라운 것은 그 과정을 통하여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제 3의 길이 열린다. 그 과정을 통해 역사는 한걸음 나아간다. 그러기에 한걸음 내딛어야 한다. 또한 그 길을 가는 사람은 마음의 중심을 잘 지켜야 한다. 그래야 그 역사의 순간에 함께 기뻐할 수 있기에....!

#3 꿈꾸는교육공동체

​ [ #3 꿈꾸는교육공동체 모임 ] 이제 본격적인 교사교육이 시작된다! 새로운 학교의 핵심은 결국 선생님이기에..... 선생님들이 먼저 자신을 뛰어 넘어야 하기에.... 모두가 살려고 한다. 그래서 죽어가고, 그래서 깨어져 간다. 참 놀라운 것은 새로운 시작은 언제나 ‘깨어짐’에서 시작된다. 그러기에 ‘깨어짐’은 축복이다. 깨어져도 철저하게 깨어져야 한다. 그래야 다시 시작하게 되니까!!! 지금이 그런 때인가보다... 교회도... 교육도.... 내 자신도.... 더욱 철저하게 깨어지기를..!!! #3꿈꾸는교육공동체 #꿈꾸는교육공동체후원계좌 #농협 310 0246 7624 31 꿈꾸는교육공동체

복음으로 사는 삶

​ [ 복음을 고백하는 삶 ] 필립 : 이런, 난 너무 칠칠맞지 못해요. 아빠 : 못을 쏟았을 때 할 말은 아닌 것 같은데... 필립 : 뭐라구요? 아빠 : 음... '못을 쏟았으니 주울게요!'라고 하면 돼 필립 : 그게 다에요? 아빠 : 그게 다지 필립 : 고마워요 아빠 - 캐럭 드웩의 '마인드셋' 중에서 - 복음 없는 부모의 말 : 못을 쏟았으니 너는 칠칠맞다 복음에 응답하는 부모의 말 : 못을 쏟았네, 다음에는 조심해야겠다. 복음으로 사는 것은 그렇게 거창하고 신비하지 않다. 일상이다. 아주 평범한 일상. 그러나 너무나 멋지고 아름다운...!!

오직 하나님만을 보며 사는 사람

​ 예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 가장 이기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사람이 하는 말이 있습니다. “나는 하나님에게만 순종한다” 참 멋진 말이지요 참 중요한 말이지요 그런데 여기에는 일단 전제가 틀렸습니다. 자신이 ‘맞다’는 겁니다. ‘하나님’이라는 것을 내가 판단하고, 내가 결정하는 겁니다. 다시 말하면 내가 ‘하나님’이지요. 그 말 자체가 틀린 겁니다. 사람의 모든 것을 순종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에게 순종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에게도 순종하지 않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을 바라보며 산다’는 사람이 제일 무서운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