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4 주제별 이야기 439

[Mindset]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

'내가 옳다'라는 생각에서 '내가 옳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로 바꿔야 한다. - 발전의 속도는 못마땅한 아이디어의 장점을 얼마나 고려하느냐에 달려 있다. - 극단적으로 개방적인 마인드 : 극도의 진실과 극도의 투명성을 항상 결합시킨다. - 개방 마인드셋이 있으면 진리를 추구하고 최적의 사고를 하는 것에 주로 관심을 쏟는다. - 폐쇄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질문을 하거나 피드백을 얻는다거나 의견 불일치를 유발하는 것보다 답을 주며 리드하는 것을 좋아한다. 개방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질문을 던지고 자기 자신과 자신의 환경 및 주변 사람들을 더 좋게 할 새로운 정보와 다양한 관점을 끊임없이 추구하며 리드하는 것을 좋아한다. - 본인의 마인드셋을 평가할 때는 개방적인 때를 더 중시하고, 타인의 마인드셋을..

[Mindset]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

복음으로 살아가는 삶을 훈련할 때 참 좋은 교재는 자기 계발서이다. 자기 계발서는 복음은 없지만 복음으로 사는 삶이 무엇인지 너무나도 잘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복음을 이해하고 고백하는 사람들은 자기 계발서를 잘 읽는 것이 필요하다. 조만간 이것을 교재로 만들어보려고 조금씩 정리해본다. 73 결국 '좋게 보이는 것'과 '배우고 성장하는 것'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81 고정 마인드셋인 사람들은 자신의 상태가 '가짐'인지 '못 가짐'인지 무척 신경쓴다. 자신의 이미지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이미지를 보호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들인다. 나쁘게 보일 것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어 생각하는 것과 생각을 처리하는 것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뜻이기도 한다. 81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랃믈은 능력보다..

[정체성] 정체성의 심리학

5 90분짜리 영화를 보몃너도 영화의 주제가 무엇인지, 도대체 영화가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묻는 사람들이 90년짜리 인생을 사는 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자주 이런 질문을 던질까? 한평생 살면서 써 나가고 싶은 자기 인생의 줄거리는 무엇인지, 자신의 삶을 통해 자신이 아끼는 주변 사람들에게, 나아가 이 세상에 말하고 싶은 인생은 무엇인지 묻고는 있을까? 제 1장 '진짜 나'는 어디에? "살면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특권은 진정한 자신이되는 것이다" - 칼 구스타프 융 16 심리학자 제임스 마샤는 누군가의 정체성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째,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탐색했는가, 둘째, 자..

[주제별] 하나님 나라

박원호 :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몰랐다 - 우리가 주님으로부터 부름받고 제자가 된 것은 오직 하나님 나라를 위한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1) '언제' 하나님 나라가 이뤄지는가? 2) '누가'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가? 3) '어디서' 하나님 나라가 임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5)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6) '왜' 하나님 나라가 이뤚야 하는가? -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입니다. 이 세 가지는 믿는 사람도, 안 믿는 사람도 모두가 원하는 보편적 소망이며 가치입니다. 또한 의와 평화와 희락은 하나님의 모습입니다. -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거룩한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나의 것으로 삼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것입니다. 믿음은 사명입니다..

[족장시대] 03. 다시 시작된 하나님 나라

창조시대에서 시작된 하나님 나라는 인간의 끝까지 거절하고, 거부함으로 모든 것이 끝난 것처럼 보입니다. 더 이상의 가능성도 희망도 보이지 않습니다. 하나님 나라를 만들어가시려는 하나님의 열심은 의미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시고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시기 위해서 처음부터 시작하십니다. 그래서 택한 사람이 바로 ‘아브라함’입니다. 갑자기 성경에서 ‘아브라함’이 주요인물로 등장한 이유를 제대로 알아야합니다. 이유없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처음부터 다시 세워가시기 위하여 ‘아브라함’을 부르신 겁니다. 이제 처음부터 하나씩 시작하시는 하나님을 보게 됩니다. 하나님 나라의 백성에게 부여된 사명의 특징은 “확장”입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에덴의 확장을 명령하셨고, 아브라함을 통해 모든..

[summary] 세계관 수업

1부 세계관 29 동양과 서양은 세상을 달리 본다. 물론 이것은 어느 정도 학습을 통해 바뀌기도 한다. 여기서 핵심은 우리가 사물을 인지하는 방식까지도 동서양이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는 점이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배우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심층에서 작동하는 어떤 매커니즘이 있기 때문이다. 의식의 아래쪽에 있는 구조, 그 심층 구조 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인간이 생각하고 행동할 때, 표층이 아니라 심층에서 우리의 행동을 규율하는 원리는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43 세계관을 갖는다는 것은 자기의 지도를 갖는다는 말이다. 44 세계관은 내가 세상을 보는 틀이기도 하지만, 그것으로 내 자신과 세상을 형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67 세계관..

[창조시대] 02. 깨어진 하나님 나라

타락 에덴동산은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인간은 인간의 자리에서 하나님을 누리며 살면 된다. 그러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기억하기 위해 하나님이 주신 것이 '선악과'이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시니라”” 창세기 2:16-17 선악과는 하나님이 인간을 억압히시기 위함이 아니라, 피조물로서 정체성을 인식하고 하나님 자리가 아니라 인간의 자리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하시기 위함이었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이지, 하나님이 아님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선악과였다. 그런데 뱀은 이렇게 유혹한다.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

[창조시대] 01. 시작된 하나님 나라

[ 하나님 나라 ] 창세기 1:1절은 아무런 설명없이 이 세상에 폭탄같은 문장 하나를 던진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1 성경은 창조의 사건들을 하나씩 이야기하지만 설득하지도 않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없어 보인다. 결국 창세기 1-2장이 보여주는 것은 이 땅을 창조하신 분은 하나님이시다! 이 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다! 바로 그것을 선언하고 선포한다. 성경의 주제는 '하나님 나라'이며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창세기 1,2장이다.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실 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 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그대로 되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 말씀하신 것이 그대로 이루어지는 나라이다. 하나님의 마음과 의도와 생각..

[Summary] 보이는 내러티브 설교법

요즘에 'Story'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설교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또한 다른 설교를 시도해보려고 고민하고 있다. Chatper 1 이야기가 삶에 스며들 때 내러티브 설교의 토대 22 성경에서 이야기가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면, 설교자들은 이야기 형태로 기록된 본문을 어떻게 설교해야 할지 분명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내러티브 설교는 신구약 본문에 내재한 이야기 형태의 장르적 특성을 파악해 플롯 형식으로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달하는 설교법이다. 내러티브 설교란? 신구약 본문에 내재한 이야기 형태의 장르적 특성을 파악해 플롯 형식으로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달하는 설교법이다. 이야기 : 어떤 발생한 사건을 제시하는 것 내러티브 : 그 이야기를 적절한 전달 방식을 사용해 재제시하는 것. 25 성..

모든 교육은 존재교육이다

이번 주 토요일부터 2주간 시작되는 교육공동체 비전나눔을 위해 어제는 하루 종일 그 부분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했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은 모든 교육은 존재교육이라는 것이다. 교육이 중요한 것은 어떤 사람으로 만들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서 교육하는 것이기에 어떤 교육은 어떤 '세상'과 연결된다. 결국 교육은 '세계관'과 연결된다. 교육은 그 세계관의 이데올로기를 제공하고, 그 세상에서 살아가는 상식을 습득하게 한다. 공교육은 '자본주의'를 위해 시작되었다. 영국에서도 18세기 초까지 교육은 개인의 일이었지만 산업혁명과 사회구조가 바뀌면서 공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미국에서도 '테일러'로 인하여 교육제도 자체가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영국과 미국 등 각 나라에서 공교육이 시작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