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467

리츄얼 by 신병철

의식과 의례를 뜻하는 리추얼은 심리학에서 긍정적인 기억과 연결시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반복 행위를 말한다. p.8 도널드 듀톤과 아서 아론에 따르면, 인간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순간에 만나는 사람을 매력적이라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p.21 생각의 변화에 행동이 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행동 변화에 따라 생각 역시 변화한다는 것이다. p.26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한 판단에 나의 상태가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내 얼굴 근육의 상태에 따라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한 판단이 달라진다. 결국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바로 나에게 있다고 볼 수 있다. p.38 행동에 생각이 따라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뇌의 인지 작용과 근육작용이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육이 움직이게 되면 이것과 연결..

덕과 성품 by 스텐리 하우어워스

p.27 덕에는 지혜, 정의, 절제, 용기를 가르키는 사추덕과 세가지 신학적 덕인 믿음, 소망, 사랑을 더한 일곱가지 덕이 있다. p.27 덕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의 잠재력을 실현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덕은 과도함과 부족함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 우리의 인격에 좋은 습관이 새겨진 것을 말한다. p.28 덕은 일곱 가지지만 악덕은 열 네가지이게 마련이다. 악덕은 덕의 양극단에 자리 잡은 것들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 믿음 ] p.197 믿음의 핵심은 일련의 신념을 받아들이는게 아니야. 믿음은 덕이야. 즉 교회라는 공동체의 일원이 됨으로써 가능해지는 덕이란다. 그 공동체에서 우리는 신뢰할 만한 사람이 되는 습관을 익히지. 우리가 신뢰할 만한 사람이 된다는 점에 놀랄 필요는 없어. 교회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

미덕이란 무엇인가? by 앙드레콩트-스퐁빌

- 미덕은 바로 우리 인간의 아름다운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지침이다. - 미덕의 본질은 능력 또는 잠재력에 있었으며, 인간과는 무관하게 쓰인 단어들이었다. - 미덕이란 인간의 획득된 지속적 존재 방식이다. - 스피노자에 의하면, 자연스런 미덕이란 없다. 따라서 미덕은 인간적 차원에서 교육되어야 할 아름다운 어떤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 그치면 안된다. 미덕은 말하자면 우리의 존재 방식이자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이다. - 미덕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의 대상이다. - 미덕은 역설적이지만,바로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 필요한 것이다. 1. 예의 2. 성실 3. 신중 4. 절제 5. 용기 6. 정의 7. 후의 8. 연민 9. 자비 10. 감사 11. 겸손 12. 단순 13. 관용 14. 순수 15. 유순 16..

도형심리학 by 수잔 델린저

네모형 세모형 동그라미형 별형 특징 지저분한 상태 못 견딤 전통적인 것을 추구함 약속을 잘 지킴 신념이 확고하고 옳고 그름이 확실 융통성이 부족함 감정 표현이 약함 유머 감각이 부족 엄격하고 완벽을 추구 잘한 일만 칭찬함 지배욕구가 있음 친한 친구가 소수임 인간관계가 광범위함 사고와 결정이 빠름 에너지가 넘침 생활패턴이 빠름 약속을 철저히 지킴 실수 잘 인정하지 않음 충동적으로 결정내림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음 말을 잘 들어줌 편안함을 중시함 헌신적임 봉사정신이 투철함 잘못되면 자신을 탓함 칭찬을 잘함 정리를 잘 못함 조직에 적응하기 힘듬 유머 감각이 풍부함 핵가족을 선호함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 항상 활기가 넘침 감정 표현을 잘함 사고방식이 긍정적임 새로운 일에 흥미를 느낌 믿음 예측가능한 세상에 살고 싶..

그리스도인의 미덕 by 톰라이트

제 1장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p.38 진정한 기독교 신앙에 따르면, 행동하는 법과 행복해지는 법은 모두 다른 어떤 것의 결과물에 해당하는 것이다. p.42 어떻게 해야 성품이 변화되고 바뀔 수 있을까? 이 틀은 다름 아닌 하나님 나라의 강림이라는 예수님의 의제와 나를 따르라는 그 분의 말씀으로 요약될 수 있다. p.42 인간 행위에 관한 이론은 두가지로 나뉜다. 바깥에서 부과한 규율에 순종하든지, 마음 속 깊은뎅서 나오는 갈망을 좇든지... p.43 신약성경은 독자들에게 이런 의미의 인간다운 존재가 되는 법을 배우라고 권유한다. 그러면 도덕적 판단력이 생기고 훌륭한 성품이 형성되어 인간다운 삶을 살게 되리라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다운 존재가 되고 훌륭한 성품으로 변화되는 것을 '미덕'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