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510

교회학교를 반드시 보내야 하는 이유

몇 일전에 교회 집사님들과 예배의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데 한 분이 이런 이야기를 하셨다. "목사님! 40년 넘게 예배드렸지만 이런 의미인지 몰랐습니다 정말 생각없이 예배드렸습니다" 맞다! 우리는 예배를 드리면서도 예배가 어떤 의미인지 모른다. 그러기에 습관처럼 아무 생각없이 예배드린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 생각이 행동을 만들기도 하지만 행동이 생각을 만들기도 하기 때문이다. 교회생활을 통해서는 어떤 생각이 만들어질까? 모태신앙으로 자라면서 놀고 싶은데 예배를 드리고, 장난치고 싶은데 기도를 드리고, TV보고 싶은데 성경을 읽고, 맛있는 거 사먹고 싶은데 헌금을 드리고,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데 봉사를 하고, 보기 싫은데 공동체 생활을 하고.... 이런 행동을 하면서 우리에게 만들어지는 무의식적..

어떤 습관을 훈련해야 하느냐?

라베송의 말로 표현하면 인간은 습관의 존재이다. 습관이 곧 존재이며, 곧 내 자신이다. 그러기에 이 세상은 좋은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하며 습관에 대한 많은 책들이 나온다. 그렇다면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 인간이 가지고 있는 습관의 기초는 BAD이다. 결국 하나님없이 살아가려고 몸부림치면서 만들어진 것들이다. 새벽에 일어나서 운동하고 자기계발하는 것이 나쁜가? 나쁘지 않다. 하지만 나쁘다. 그것이 불안함과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다 들어주는 것이 나쁜가? 나쁘지 않다. 하지만 나쁘다. 그것이 자기 거절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습관을 가져야 하고 훈련해야 할까? 바로 여기에서 교회 공동체의 존재의미가 나온다. 교회 공동체가 이 ..

[묵상] 시편 55:1-23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이다 공의의 하나님 -> 의인을 붙드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내가 '의'롭기를 원하신다. 하나님은 하나님을 향하여 초점을 맞추기 원하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시편기자의 탄식처럼 다른 이들을 원망할 때가 있고, 분노할 때가 있고, 비난할 때가 많다.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며 하나님께서 정리할 것이기에 하나님을 주목하며 집중하지 않을 때가 많다.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하나님께 내 마음을 올려드리며 기도하기 다른 사람 - 상대가 아니라 내 모습을 되짚어보기 / 하나님의 마음을 나누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나눔과 동행을 하기 원하실까? 시편 기자의 배신감이 있다..

[뇌]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p.10 뇌졸중을 겪을 때의 느낌이 어떤지 알고 싶다면 뇌졸증이 찾아온 아침'을 읽기 바란다. 여기서 나는 인지능력이 단계적으로 무너져 가는 과정을 과학자의 눈으로 추적했다. 출혈이 심해지면서 내 인지능력이 어떻게 그 기능을 상실해갔는지 생물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해보았다. 뇌해부학자로서 하는 말인데 나는 뇌졸중을 겪으면서 뇌와 그 작용에 대해 대학에서 배운 것만큼이나 많이 배웠다. 그 날 아침, 나는 내가 우주와 하나가 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따. 그 이후로 나는 인간이 어떻게 신비한 혹은 초자연적인 경험을 하는지를 뇌의 해부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1부 그날, 이후 8년의 기록 p.30 뇌졸중이야. 내가 뇌졸중에 걸렸어. 우아, 이거 멋진데. 나는 인간의 뇌가 현실을 인지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평..

[묵상] 시편 54:1-7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주의 힘으로 나를 변호하소서 진리이신 하나님 -> 보호해 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이 나를 보호해주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시편의 기자처럼 하나님께 나아가고 있을까? 아니면 혼자의 힘으로 풀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내가 악을 갚으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내가 나를 보호하고 지키려고 하지 않기 다른 사람 - 다른 사람을 보호해주기 /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나누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것을 자유하게 해 주실까? 시편 기자의 고백은 하나님이 나의 변호자이심을 고백한다. 늘 이 고백은 우리 삶의 변화를 요구한다. 하나님이 나의 변호자이시면 내가 나를 변호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서..

[summary] 라베송의 '습관에 대하여'

역자해제 - 논문은 전체적으로 두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장은 습관이 일어나는 존재자들의 범위를 밝히고 있고, 둘째장은 습관의 존재방식과 본질을 밝히고 있다. - 습관이라는 현상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자연이 기계론적으로 설명되지 않고 오히려 물질과 다른 정신적 활동이 화석화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1. 습관의 범위 1) 물질에서의 형성된 습관의 부재 2) 유기체에서의 습관 3) 하등동물에서의 습관 4) 고등동물에서의 습관 2. 습관의 존재방식과 원인 1) 의식과 노력의 능동과 수동에서 드러나는 습관의 법칙 2) 습관의 법칙의 설명원리인 불분명한 능동성 3) 습관과 자연(본성) 4) 습관과 사랑(신) 5) 습관의 원천, 자연적 자발성 6) 요약과 결론 습관에 관해 말하는 라베쏭의 인사..

[summary] 하버드 철학수업

서문 - 인식론은 크게 유물론적 인식론과 유심론적 인식론으로 구분된다. - 고대 그리스도의 학술계는 명목론과 실재론으로 양분, 스콜라 철학에서 다시 격돌. - 명목로노가 실재론의 갈등은 사실상 유뮬론과 유심론 간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 헤겔이 유심론에 변증법을 접목한 변증법적 유심론을 창시하며 유심론을 집대성. 그러면서 마르크스를 위시한 철학자들은 변증법적 유뮬론을 또 다시 제시했다. 이러한 진행 속에서 '실용주의'가 등장한다. Chapter 1 사고의 형태 : 흐르는 강물처럼 멈추지 않는 의식 개인의식의 훈련 비결 - 즉 사고는 절대 독립성, 불가역성, 다양성의 특징을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사고를 꺼낼 때마다 그것이 누구의 사고인지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개인의 사고는 다른 사람과 '매청'되..

[묵상] 시편 53:1-6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하나님이 없다 하는도다 자존자이신 하나님 -> 우리의 판단에 결정되지 않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나의 판단에 결정되지 않으시는 분이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 생각 안에 갇히고 있는 것은 아닐끼? 내 판단 안에 갇히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나님의 존재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내 생각에 맞추고 있는 것은 어디일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판단과 결정이 아니라 순종하기 다른 사람 - 판단하지 않고 그 모습 그대로 대하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부분을 순종하기를 원하실까? 인간의 이성은 답 없는 자기 자신의 합리화이다. 자기 자신에게는 맞을 수 있으나 결코 답이 될 수 없는 것은 인간 이성의 한계이기..

기독교反성폭력센터

최근에 변호사를 만나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또한 여러 자료를 찾아보면서 개신교에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고, 또한 이런 일을 해결하려는 몸부림도 많다는 것을 보게 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개신교 안에서 피해자 상담 지원 및 이슈 파이팅 등 반성폭력 운동을 진행하고, 교계 내 성 평등한 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기독교반성폭력센터(yourvoice.or.kr)’가 개소했다. 2018년 상반기부터 ‘미투 운동’과 맞물려 40여 건의 상담 및 생존자 말하기 대회, 교회 성폭력 해결을 위한 가이드 북 제작( 공동 제작), 교회 성폭력 생존자 글쓰기 자조 모임 ..

[summary] 습관을 바꾸는 생각의 힘

시작하며 _ 습관을 바꾼다는 건 생각을 바꾼다는 것 - 해보고 싶은데 안돼 - 그만두고 싶은데 그만둘 수 없어 - 행동의 원인이 되는 것은 사고습관입니다. 눈에 보이는 행동은 머릿 속에서 생각한 것을 현재화시킨 것입니다. 따라서 사고 습관을 바꿔야 인생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의식적으로 나 자신을 바꿔 나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 '바뀔 수 있는 나'와 '바뀔 수 없는 나' - 뇌 속 프로그램을 다시 만드는 방법은 체험(오감)과 언어를 의식적으로 사용해 실행하는 것입니다. 바꾸는 방법은 N(Neuron-오감-체험) L(Language-)P(Programming) - 나쁜 습관을 고치는 것이나 원하는 습관을 몸에 익히는 것은 의식적으로 자신을 바꿔나가는 것입니다. 뇌 속 프로그램을 바꾸는 것도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