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인식론은 크게 유물론적 인식론과 유심론적 인식론으로 구분된다. - 고대 그리스도의 학술계는 명목론과 실재론으로 양분, 스콜라 철학에서 다시 격돌. - 명목로노가 실재론의 갈등은 사실상 유뮬론과 유심론 간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 헤겔이 유심론에 변증법을 접목한 변증법적 유심론을 창시하며 유심론을 집대성. 그러면서 마르크스를 위시한 철학자들은 변증법적 유뮬론을 또 다시 제시했다. 이러한 진행 속에서 '실용주의'가 등장한다. Chapter 1 사고의 형태 : 흐르는 강물처럼 멈추지 않는 의식 개인의식의 훈련 비결 - 즉 사고는 절대 독립성, 불가역성, 다양성의 특징을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사고를 꺼낼 때마다 그것이 누구의 사고인지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개인의 사고는 다른 사람과 '매청'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