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4 주제별 이야기 590

기독교유신론으로부터 시작해서 구조주의까지 (feat. 제임스 사이어)

기독교 유신론에서 시작하여 구조주의에 이르기까지의 서구 사상사 흐름을 '하나님'과 '인간 주체'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중심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이는 마치 세계의 중심이 신에게서 인간으로, 그리고 인간에게서 다시 텅 빈 구조로 이동하는 거대한 드라마와 같습니다. 이 흐름을 제임스 사이어의 세계관 모델을 차용하여 6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1단계: 기독교 유신론 (Christian Theism) - '신'이 중심인 세계핵심: 인격적이고 전능하며 선하신 하나님이 세계의 중심이자 모든 의미의 근원입니다.세계관: 하나님은 우주를 창조하셨고, 인간을 당신의 형상대로 만드셨으며, 역사에 직접 개입하십니다. 따라서 인간의 가치, 도덕, 삶의 목적은 모두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는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것입니다..

구조주의 사상에서 푸코의 역할

구조주의 사상에서 푸코의 역할: '비판적 계승자'이자 '전환의 촉발자'미셸 푸코(Michel Foucault)를 구조주의 사상의 틀 안에서 이야기할 때, 그의 역할은 '구성원'이나 '대표자'가 아니라 '가장 예리한 비판적 계승자'이자 구조주의를 넘어 '후기구조주의'로의 전환을 촉발한 핵심 인물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푸코 자신은 스스로를 구조주의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했지만, 그의 사상은 구조주의라는 거대한 흐름을 통과하며 형성되었습니다. 따라서 그의 역할은 구조주의의 핵심 통찰을 흡수하고, 동시에 그 한계를 폭로하며 새로운 사유의 길을 열었다는 이중적인 측면에서 이해해야 합니다.1. 구조주의의 계승자로서의 푸코푸코는 구조주의가 일으킨 '주체의 죽음'이라는 혁명적 사유를 공유하며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습니다...

구조주의를 중심으로 구분해보는 사상사

구조주의를 중심으로 본 세계 사상사 구분: 주체의 시대에서 구조의 시대로, 그리고 그 너머로20세기 중반 지성계를 강타한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그 이전과 이후의 사상 지형을 완전히 바꿔놓은 '하나의 거대한 분기점'으로 기능합니다. 따라서 구조주의를 중심에 놓고 세계 사상사를 구분하는 것은 현대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는 매우 유효한 방법입니다.사상사를 크게 '구조주의 이전', '구조주의', '구조주의 이후'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 핵심적인 전환은 바로 '인간 주체(Subject)'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에 있습니다.1부: 구조주의 이전 - '생각하는 나'가 세계의 중심이었던 시대 (17세기 ~ 20세기 중반)핵심 명제: "내가 생각하고, 내가 느끼고, 내가 역사를 만든다."구조..

[성경통독] 7/28(월) 이사야 40:1-48:22

초점심판의 예언들1:1-35:10역사적 삽입구36:1-39:8위로의 예언들40:1-66:24구성유다를 향한 예언1:1-12:6다른나라에 대한 예언13:1-23:18주의 날에 대한 예언24:1-27:13심판과 축복의 예언28:1-35:10히스기야36:1-39:8이스라엘의 구원40:1-48:22이스라엘의 구원자49:1-57:21이스라엘의 영광스런 미래58:1-66:24주제예언적역사적메시야적 심판과도기소망장소이스라엘과 유다연대주전 740-680 제 3부 위로의 예언들 40:1-66:24I. 이스라엘 구원에 대한 예언들 40:1-48:22 1. 이스라엘의 구원으로 인한 위로 40:1-11 2. 하나님의 성품으로 인한 위로 40:12-31 3. 하나님의 위대하심으로 인한 위로 41:1-29 4. 하나님의 ..

구조주의 핵심개념

구조주의 핵심 개념: '관계'가 '의미'를 결정한다**구조주의(Structuralism)**는 20세기 중반 프랑스를 중심으로 철학, 언어학, 인류학, 정신분석학 등 인문·사회과학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사상입니다. 그 핵심은 **"개별 요소의 의미는 그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속한 더 큰 '구조' 안에서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를 통해 결정된다"**는 생각입니다.이는 '나'라는 주체, 개인의 의지, 역사의식 등을 중시했던 기존의 서양 철학(특히 실존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반격이었습니다. 구조주의는 인간의 생각과 행위가 자유로운 선택의 산물이기보다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거대한 사회적, 언어적, 무의식적 '구조'에 의해 지배받고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구조주의의 핵심 개념은 언어학자 ..

구조주의가 시작된 배경

구조주의는 '인간은 과연 자유롭고 주체적인 존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새로운 답변으로 등장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 사상적 흐름에 대한 반발이 있었습니다.1. 실존주의에 대한 반발이전 사상(실존주의):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인간의 운명은 스스로의 자유로운 선택에 달려있다"고 보는 실존주의가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대표: 장 폴 사르트르)구조주의의 생각: 하지만 구조주의자들은 "과연 그럴까?" 하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개인의 선택 이전에,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사회 제도, 문화적 관습이라는 보이지 않는 '구조''가 이미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규정하고 있다고 본 것입니다. 즉, 인간은 자유로운 주체라기보다 구조의 영향을 받는 존재라는 것이죠.2. 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전 사상(..

[다시 자녀를 키운다면] #5 피하지 않고 넘어가도록 격려하기

부모가 자녀가 우는 것을 힘들어한다.우는 이유가 자신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물론 나 역시도 그랬던 것 같다.그래서 아이가 울면 '하지 말라'고 했다.일단 울음을 그쳐야 하니까...그리고 아이들은 그 울음을 잘 활용했다.그런데 아이들 하기 싫어할 때는이유가 있다.그 이유를 들어야 한다.물론 부모의 입장에서는아이가 우는 것이 참 힘들다.그렇게 하기 싫어하고, 가기 싫어하는데그걸 억지로 보내야 하는지 고민한다.하지만 아이들이 하기 싫어하는 이유는 반드시 있다.다만 그 이유를 아직 아이들은 모른다.그러기에 부모와 함께 이야기를 나눠야 한다.아이가 하기 싫어하는 이유는결국 자기 자신에게도 나온다.그 말은 아이에게 '성장 포인트'까지 왔다는 의미이다.내가 못하기 때문에,몸이 너무 힘들기 때문에,친구들이 놀아..

[성경통독] 7/25(금) 이사야 36:1-39:8

초점심판의 예언들1:1-35:10역사적 삽입구36:1-39:8위로의 예언들40:1-66:24구성유다를 향한 예언1:1-12:6다른나라에 대한 예언13:1-23:18주의 날에 대한 예언24:1-27:13심판과 축복의 예언28:1-35:10히스기야36:1-39:8이스라엘의 구원40:1-48:22이스라엘의 구원자49:1-57:21이스라엘의 영광스런 미래58:1-66:24주제예언적역사적메시야적 심판과도기소망장소이스라엘과 유다연대주전 740-680 제 2부 역사적 삽입구 36:1-39:8I. 앗수르(앗시리아)로부터 구원받은 히스기야 36:1-37:38 1. 앗수르가 하나님을 대적함 36:1-22 2. 하나님께서 앗수르를 멸하심 37:!-38II. 질병으로부터 구원받은 히스기야 38:1-22III. 히스기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