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90분짜리 영화를 보몃너도 영화의 주제가 무엇인지, 도대체 영화가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묻는 사람들이 90년짜리 인생을 사는 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자주 이런 질문을 던질까? 한평생 살면서 써 나가고 싶은 자기 인생의 줄거리는 무엇인지, 자신의 삶을 통해 자신이 아끼는 주변 사람들에게, 나아가 이 세상에 말하고 싶은 인생은 무엇인지 묻고는 있을까?
제 1장 '진짜 나'는 어디에?
"살면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특권은 진정한 자신이되는 것이다" - 칼 구스타프 융
16 심리학자 제임스 마샤는 누군가의 정체성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째,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탐색했는가, 둘째,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나름의 신념을 갖고 있는가.
22 정체성이란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이고 자신이 의미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방향에 대한 결단을 내린 정도를 의미한다. 정체성이 잘 형성되어 있는 사람에게 세가지 특징
1) 이들은 영혼의 엑스레이 사진을 가지고 있다.
2) 자신의 목적지가 찍힌 내비게이션을 가지고 있다.
3) 삶에 대한 지침, 가치판단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 이런 특징들을 종합해보면, 정체성이 있다는 것은 곧 '내 삶의 주인은 바로 나'임을 천명하는 것이다.
30 자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념이나 추론을 심리학에서는 '자기개념'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자기개념이 곧 정체성은 아니고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정체성과 다른 점이 있다.
1)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2) 조화와 일관성에 있다.
3) 삶의 의미와 방향성을 포함한다.
제 2장 나는 이야기 안에 있다.
46 나일스는 호모 나란스라는 이름을 통해 인간의 고유한 특성은 바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 이야기를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47 어떤 결정을 내린 이유 하나를 설명하기 위해서도 이야기가 필요한데, 한 삶을 온전히 드러내려면 자신이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자신에게 중요한 인생 이야기들이 결국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 즉 정체성 그 자체이다.
51 인생 이야기란 어떤 일에 대한 객관적 사실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 사건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로 맺히게 되어 자신의 삶을 이끌어가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52 서사정체성이라는 분야를 창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댄 맥애덤스에 따르면, 누군가에 대한 지식은 크게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
1) 보통 성격 5요인이라 부리는 기질적 특성(외향성, 신경과민성, 우호성, 성실성, 개방성)
2) 특징적 적응으로 불리는 각자의 동기, 목표, 가치, 애착 유형, 자기 개념 등을 포함한다.
3) 인생 이야기.
-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잘 엮어낼 수 있어야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고, 비로소 우리 자신이 될 수 있다.
59 심리학자 제프리 아네트는 200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기존의 인간 발달 과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발달시기가 현대사회에서 등장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만 18세에서 25세 사이의 시기를 성인 모색기라고 명명했다.
66 자신의 인생 이야기는 정체성 그 자체이다.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써 내려갈 수 있을 때 비로소 인생의 진정한 주인으로 살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신의 인생 이야기는 무엇인가?
67 두 가지 관점에서 자신의 글을 평가해보자.
1) 자신의 답변이 꽤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자기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가?
2) 글 속에서 묘사된 자신이 남들이 생각하는 꽃길은 아닐지라도 자신이 걸어야 할 길을 제대로 걷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그래서 충분히 의미있는 삶을 꾸려가고 있다고 생각되는가?
제 3장 여러 가지 색이 섞인 '나'라는 사람
74 좋은 이야기는 정체성 발달 정도이다. 정체성이 잘 형성된 사람들의 인생 이야기는 크게 세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1)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 간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달라는 것
2) 한 가지 요소로 똘똘 뭉쳐 있다. 자기 자신을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완전된 전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
"당신 인생의 주제는 무엇입니까?"
- 내면화 과정을 거쳤다면 하나의 일에만 매진했더라도 정체성이 잘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 '해야 한다'를 '하고 싶다'고 바꾼 순간.
- 삶은 명사가 아니라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꿈은 가슴에 품고 살고 싶은 인생 이야기에 대한 상상이어야 한다.
3) 삶의 의미(일, 사랑, 시련)
129 어려운 환경 속에서 중심을 잡고 훌륭히 성장한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
1) 부모로부터 미래의 성공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는 점
2) 어려서 책을 많이 읽었따는 점이다.
134 인생 이야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버닝에서 부시맨의 두가지 굶주림. 하나는 리틀 헝거, 다른 하나는 그레이드 헝거.
제 6장 정체성, 자존감을 만들다
144 자존감은 패러독스이다. 자존감이 필요한 사람은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자존감을 가진 사람은 그것이 필요하지 않다.
149 자존감은 자기 자신이 얼마나 가치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과 자기 자신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으로 느끼는지에 대한 정서적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152 튼튼한 자존감은 살면서 실제로 이루었던 성취나 주변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라는 현실에 기반한 자존감이다. 자기 수용.
160 자기 수용이란 말 그대로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가지,
1) 자신의 과거
2) 자신의 강점과 약점
161 자기수용은 자존감에 논리적으로 선행한다.
163 과거는 바꿀 수 없다.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행동은 과거에 대한 해석을 바꾸는 것이다. 즉 과거의 불행한 사건으로부터 자신에 대해 깨달은 것은 무엇인지, 세상에 대해 알게 된 것은 무엇인지, 그로부터 바뀌게 된 삶의 원칙들은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단어가 '성장'이다.
172 자신의 삶을 하나의 이야기로 보는 것이라 믿는다. 모든 좋은 이야기는 갈등과 좌절로 점철된 과정을 거쳐 도달하는 클라이 맥스가 있따.
제 7장 이야기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인생이라는 책의 차례
- 구조로 보는 인생 이야기 : 오염과 구원
- 내용으로 보는 인생 이야기 : 독자성과 융화성
제 8장 '오늘'을 나답게 살기
217 글쓰기 활동의 두가지 긍정적 효과
1) 내면화
2) 각자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229 좋은 인생은 좋은 인생 이야기로 완성된다.
234 당신은 어떤 이야기를 품은 사람이 되고 싶은가?
'Part 4 주제별 이야기 > 자기정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신과 학대] 나는 믿을 수 없어 (0) | 2023.03.21 |
---|---|
[버림받음] 나는 버림받을거야 (0) | 2023.03.21 |
[주제별] 정체성 (0) | 2021.11.17 |
나의 정체성 (0) | 2017.04.26 |
다시 주어진 정체성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