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508

[summary] 하나님은 존재다 - 신' 중에서

1부 하나님은 누구인가 p.15 안셀무스 : 신앙을 전제하지 않는 것은 오만이며, 이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태만이다.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p.20 자신의 비참함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오만을 낳는다.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자신의 비참함을 아는 것은 절망을 낳는다. 팡세 p.31 만약 우리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으로든 하나님이 인간처럼 생겼다고 생가가는 한,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을 오해하거나 또는 아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56 하나님은 모든 존재물이 존재하는 바탕입니다. 즉 모든 존재물은 하나님 안에서 존재를 부여받아 존재하지요. '하나님은 존재다'라는 말이 여기서 나온 겁니다. 따라서 하나님은 우주마저 자기 안에 포괄하며, 무소부재하고, 오직 하나님만이 존재할 뿐 하나님의 바..

[묵상] 누가복음 13:22-35

예수님을 통해 보여주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문을 한 번 닫은 후에(25절) 사랑의 하나님 -> 모두가 구원받기 원하시는 하나님 -> 지금 기회를 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지금도 기회를 주고 계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고집 부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좁은 문보다는 편한 곳을 선택하는 것은 아닐까? 하나님이 주시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나에게 계속 기회를 주기 / 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신 기회를 돌아보기. 다른 사람 - 다른 사람에게 다시 기회를 주기 / 주신 기회를 돌아보게 하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기회를 주고 계신 것일까? "구원받는 자가 적습니까?" 이 질문이 정말 가슴 ..

Netflix 영화 "승리호"

설날을 맞이하여 가족들이 함께 본 영화 '승리호' 사실 어떤 정보도 없이 봤던 영화이기도 하다. 하도 인터넷에서 홍보를 하고, 이야기를 해서.... SF 영화에서 한국어를 들으니 낯설기도 하고, 처음 흐름이 이해가 되지 않아서 잠시 어색하게 영화를 봤다. 영화 내용은 보면 아는 것이고, 한국이 만든 SF 영화라고 하는데 그렇게 어색하고 서툴다는 느낌은 없었다. 한국적 정서를 담은 스토리를 풀어내서 아이들과 재미있게 봤다. 굳이 목사로서 영화평을 하자면 어떤 한 사람이 만들어가는 유토피아는 깨어질 수 밖에 없고, 어느 한 쪽이 희생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의 불완전함 때문이기도 하다. 철저하게 인간의 이중성과 이기적인 모습으로 만들어진 파라다이스 세상의 UTS 그것을 누리는 자와 누리지 못해 시기하는 자....

말씀묵상이 삶을 바꾸는 이유

성경은 우리가 '다스리는 자'라고 말한다. 그렇다며 우리는 어떻게 다스리면서 살아가는 것일까?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은 이런 구조로 되어 있다. 자극 -> 감정 -> 행동 어떤 자극이 오면 자연스럽게 감정을 느끼고, 행동을 한다. 이것이 하나의 세트로 순식간에 이뤄진다. 삶의 습관처럼 되어 있기에 뇌가 검열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후회할 행동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인간은 '다스리는 자'로 살아갈 틈이 없다. 결국 늘 사고를 치고 뒷수습을 해야 한다. '다스리는 자'라기보다는 '수습하는 자'라는 말이 더 맞다. 그러면 인간의 삶에서 '다스리는 자'는 어디에 해당될까? 사실은 이러한 과정에 하나의 단계가 더 들어간다. 자극 -> ( 해석 ) -> 감정 -> 행동 바로 자극과 감정의 사이에 '해석'이다. 자극..

[묵상] 누가복음 13:10-21

예수님을 통해 보여주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이 아브라함의 딸을 안식일에 이 매임에서 푸는 것이 사랑의 하나님 -> 하나님이 쉬셨다고 하는 안식일에도 일하시는 하나님 -> 모든 순간에 일하고 계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모든 순간과 상황에서 나를 위해 일하고 계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회당장처럼 내 규칙과 방식으로 다른 이들의 삶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을 제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주어진 상황 때문에 불안해하며, 염려하며 내가 내 방법대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아닐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며 감사하며 누리기 다른 사람 - 지금까지 하나님의 일하심을 나누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일하심을 보..

[교육] 내 아이를 위한 칼 비테 교육법

제 1강 시대를 넘어선 아버지 : 칼 비테의 교육법 p.29 독일은 서양 최초로 국민교육을 실시한 나라였습니다. 교육의 목적은 국가에 충성하는 국민을 받드는 것이었습니다. 비판 능력을 상실하게 하고 공장처러머 일꾼을 찍어내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었습니다. 미국은 프로이센에 가서 학위를 받으며 프로이센의 교육 제도를 그대로 따라 미국의 교육제도를 만들게 됩니다. 중하류층을 위한 공립학교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미국은 중하류층과 상류층의 교육 방식을 차별화했습니다. 중하류층에게는 주어진 일을 제대로 하도록 교육한 반면 상류층에게는 깊이 있는 인문학 교육을 실시했던 것이죠. p.32 칼 비테는 독일 교육의 병폐를 정확히 진단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인문고전 가운데 교육에 관한 부분을 읽고 연구..

[묵상] 누가복음 13:1-9

예수님을 통하여 보여주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 금년에도 그대로 두소서 생명이신 하나님 -> 살리시는 하나님 -> 돌이키는 기회를 주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은 매순간 나에게 돌이키는 기회를 주신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다른 사람의 잘못은 보면서 내 자신은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어떤 부분을 돌이키기 원하시는 것일까? 나에게 어떤 기회를 주고 계신 것일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내 자신에게 기회를 주기 / 돌이켜야 하는 영역을 무엇인지 보기 다른 사람 - 다른 사람에게 기회를 주기 / 하나님이 주신 기회를 나누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영역에 기회를 주고 계신 것일까? 우리의 시선은 늘 다른 사람을 향해 있지만 그것..

[묵상] 누가복음 12:49-59

예수님을 통해 보여주신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분쟁하게 하려 함이로다(51절) 진리이신 하나님 -> 분별의 기준이 되시는 하나님 -> 거짓과 충돌하게 하시는 하나님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하나님으로 인해 거짓과 충돌하며 고민하게 하신다.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내 안에 어떤 거짓과 갈등이 있을까? 내가 보지 못하는 거짓, 외면하는 거짓은 무엇일까? 나는 거짓과 충돌하는 것을 불편해 하는 것은 아닐까?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내 안의 거짓들을 돌아보기 다른 사람 - 다른 이들의 충돌에 대하여 응원하기 / 거짓에 대하여 기도하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내 안의 거짓을 보게 하실까? 진리는 거짓과 구별되게 한다. 그러기에 갈등과 다툼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summary[ 성공하는 사람들의 8번째 습관

p.22 운동장에서 뛰는 11명의 선수들 가운데 4명만이 어느 쪽 골대에 골을 넣어야 하는지 알고 있다는 것이다. p.31 일반적으로 비전은 사회적 필요를 느끼고, 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양심이 작용할 때 생긴다. 하나의 필요를 충족시키면 또 다른 필요가 나와서 충족시키는 과정이 계속 된다. 그러면서 그들은 점차 그 필요를 보편화하고, 자신의 노력을 체계화시킬 방법을 생각하기 시작한다. p.39 위대한 역사가 아널드 토인비는 사회와 조직의 역사를 "성공만큼 큰 실패는 없다"는 말로 표현했다. p.44 존 가드너는 "병들어 있는 조직은 대부분 자신의 결함을 보지 못한다. 그들은 문제를 해결 못해서가 아니라, 문제 자체를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심..

[묵상] 누가복음 12:35-48

예수님을 통해 보여주신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혼인집으로 돌아와" 창조주 하나님 -> 이 땅의 주인이신 하나님 -> 다시 이 땅에 오실 하나님 그 하나님은 나에게 어떻게 해주시는가? 다시 이 땅에 오셔서 심판해주실 것이다. 그런데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하나님 앞에 서는 날을 의식하고 있는가? 아니 지금 이 순간이 바로 그 때임을 알고 있을까? 마치 주인이 오지 않는 것처럼 생각하고 내 마음대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오늘 하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 - 일을 미루지 않고 오늘 바로 처리하기 다른 사람 - 주인이 아니라 맡겨진 자로서 대하기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어떤 순간이 주님 앞에 서는 순간이 될까? 지금 나에게 주어진 모든 것이 맡겨진 것이며 주인이 다시 돌아올 때 그것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