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5 이런저런 이야기 376

[summary] "고수의 몸 이야기" 한근태

p.4 건강이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에서 내린 건강의 정의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모두 건강한 것을 건강으로 정의한다. 건강을 뜻하는 헬스, 치유를 뜻하는 힐링의 어원은모두 그리스도 holos다. holos는 신성하다는 뜻의 holy, 전체를 뜻하는 whole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 건강에 있어서 인간의 일부분만이 아닌 전체가 중요하고 건강은 그 자체로 신성하다는 메시지를 준다. p.5 진짜 건강한 사람은 자신의 몸을 의식하지 않는 사람이다. p.7 버킷리스트와 반대되는 더킷 리스트가 있다. Part 1 몸을 경배하라 - 생각이 많다는 것은 몸은 움직이지 않고 대신 머리만 사용하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몸이 지나치게 편하다는 것이다. - 몸과 마..

목사는 이끈다?… 예수님처럼 팔로워 되라!

목사는 이끈다?… 예수님처럼 팔로워 되라! 젊은 목사에게 보내는 편지/에릭 피터슨, 유진 피터슨 지음/홍종락 옮김/복있는사람 목회자만큼 자기 분야에 정통하기 힘든 전문가가 있을까. 구원과 섭리의 신비 안에서 살아가야 하고 때론 이해하기 힘든 현상도 청중 앞에서 증언해야 한다. 왕성한 저술 활동으로 전 세계 그리스도인에게 영향을 미친 유진 피터슨(1932~2018·사진) 목사도 이런 목사직의 특수성에 동의한다. “목사의 독특성 중 하나는 의사나 변호사 등 다른 전문가보다 업무에서 훨씬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이다.… 나는 지금도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무슨 말을 해야 하는지, 다음 행보는 어떻게 될지 모를 때가 얼마나 많은지 놀라곤 한다.” ‘목회자의 목회자’로 불린 피터슨 목사의 진솔한 고백은 목..

"축의 시대" 카렌 암스트롱

머리말 - 우리가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축의 시대'라고 부른 시기에서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시기가 인류의 정신적 발전에서 중심 축을 이루기 때문이다.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에 세계이 네 지역에서 이후 계속해서 인류의 정신에서 자양분이 될 위대한 전통이 탄생했다.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일신교, 그리스 철학적 합리주의가 그것이다. - 실제로 우리는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위기의 시기에 사람들은 늘 축의 시대를 돌아보며 길을 찾았다... 이 세 전통은 모두 축의 시대의 전망을 재발견하고 그것을 자기 시대의 환경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언어로 훌륭하게 번역해냈다. - 축의 시대에 발전한 전통들은 모두..

"카이로스 : 하나님의 시공간" 고성준

p.4 카이로스는 하나님의 때, 또는 하나님의 시간을 의미하는 단어다. 카이로스의 시간이 흐르는 '카이로스 시공간'은 보이지 않는 영적 세계다. p.8 육적인 어린아이가 자연 세계의 원리를 모르듯 영적인 어린아이는 영적 세계의 원리를 모른다. 영적 세계를 모르니 그저 육신에 속한 자요, 영적 세계엣는 어린아이다. p. 12 현대 기독교가 처한 싸움은 어떤 의미에 언어의 싸움이다. 익숙해진 종교 용어들은 익숙함 속에서 진부해지고, 그 진부함은 영적 능력을 앗아간다. 현대 기독교에는 영적인 용어들의 구속이 필요하다. Part 1 기초 p.19 1)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2) 영원한 것과 유한한 것 p.24 영적 세계를 움직이는 것은 '기도'인데, 기도에 영적인 것을 움직일 힘을 부여하는 것은 '믿..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는 나라"

'신앙의 언어'를 '삶의 언어'로 바꾸는 훈련이 필요하다.내가 목회자이기에 이런 친구에 대한 호의(?)이 있지만 이런 친구가 정치를 하면 자기 욕심을 하나님의 뜻에 이용할 소지가 많게 된다. 신앙의 언어는 영적인 언어이다. 저런 문구는 목회자들이 사용하면 된다. 그 언어를 이 땅의 언어로 해석해야 하는 것은 이 땅을 살아가는 크리스천들의 부르심이기도 하다. '보수'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삶의 언어로 표현해주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한다. 이런 저런 글을 쓸까 하다가 새물결플러스 김요한 목사님이 쓴 글이 있어서 그 글을 옮긴다. 최근 SNS상에서 논란이 된 '중앙청년위윈회' 소속 청년 몇 사람을 면직 처분했습니다. 그중 한 청년은 자기 소개글에 '어머니가 목사님'이라고 적시하고,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는 나..

"은혜의눈으로 치매 환자 대하기" 존 던롭

p.19 노년의 4D Depression, Disease, dementia, death p.25 그리스도인들은 치매를 겪고 있는 사람을 돕는 데 있어 독특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성령의 내주하심을 통해 나오는 하나님의 지혜와 사랑, 하나님의 위로와 도움을 구하는 기도의 능력, 기꺼이 협력하며 돕고자 하는 교회 공동체 등이 포함된다. p.25 이 책에서 나누게 되는 질문 1) 우리는 치매에 걸린 사람을 전인간적ㅇ니 인간으로 여기는가, 아니면 그의 인격을 그의 인자 능력에 따라서 폄하하는가? 2) 어떻게 선하고 전능하신 하나님이 그런 비극을 허락하실 수 있는가? 치매는 의미없는 것인가? 만일 그렇지 않다면, 하나님의 목적은 무엇인가? 3) 치매를 경험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 4) 우리는 치매라는 어..

"에이트 + 에이트 씽크" 이지성

p.17 인공지능이 보여주는 공감과 창조 능력은 냉정히 말해서 가짜다. 인간의 공감과 창조를 모방, 변형, 융홥한 것에 불과하다. 이는 당연하다. 인공지능에게는 학습하는 능력만 있을 뿐 생각하는 능력은 없기 때문읻. 1장 지금 당신이 그 무엇보다 먼저해야 할 일 - think의 의미를 깨달아야 한다. - 문명을 창조하고 발전하게 하는 의미의 think를 시작해야 한다 - 지금 새롭게 시작되고 있는 미래 문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 - 인공지능은 184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연구는 1943년부터 시작되었다. 2장 인공지능 창조자들의 숨겨진 정체 - "인공지능 창조와 발전의 핵심은 수학이다" - 수학과 과학을 못하는 이유는 철학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철학을 기초로 하는 수학과 과학을 공부해야..

"휴먼스킬"

"미래 대응의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불확실한 미래에 적응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당신과 당신의 분야에서 갈수록 중요해지는 것은 무엇인가?" p.21 괴테 "아이들이 부모에게서 받아야 하는 게 두가지 있습니다. 바로 뿌리와 날개입니다. 뿌리는 '나는 누구인가? 내 강점, 가치관, 발전 영역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을, '날개'는 '세상일에 잘 참여하고 공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ㅇ니가?"에 대한 내용. p.29 이 책은 자기 인식을 발전시키고, 자신이 감정에 통달하며, 깊이 있는 진정한 관계를 맺고, 명확하게 의사소통하며,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Part1 디지털 파괴 - 결국 모든 전문가가 동의하는 사실은 두 가지 뿐이다.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