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5 이런저런 이야기/BOOK SUMMARY 137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 by 울리히 슈나벨

p.7 휴식과 관련된 개념의 차이도 있다. 독일어로 여가는 프라이차이트이다. 우리에게 여가는 열심히 일하고 남는 시간이라는 뜻이지만, 독일어는 자유시간이다. 내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시간이란 이야기다. 우리에게 여가나 휴식은 '무엇으로의 자유'를 뜻하는 소극적 자유에 가깝다. 그러나 독일의 프라이차이트는 무엇을 향한 자유인 적극적 자유다. 내가 좋아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이 있어야 휴식은 적극적 자유의 시간이 된다. p.21 휴식은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나, 내 시간의 주인이 되는 느낌이 드는 순간을 뜻한다. 1장 우리는 왜 날마다 바쁜가? p. 36 지난 세월, 순수 근무시간이 줄어든 대신, 학습에 들이는 시간은 수직 상승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는 강박관념 탓에 정보의 처리와 ..

예수를 입는 시간(켄 시게마츠)

- 습관은 우리가 입는 것이다. 습관은 하루를 입는 '방식'이다. 매일 똑같은 리듬을 꾸준히 유지해야 우리 영혼이 벌거숭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매일 같은 영혼의 리듬을 꾸준히 유지하면, 우리 영혼의 옷을 영광스럽게 다시 짜 주시는 분께로 점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다. - 리듬이 있는 삶은 '음악'이 된다. 리듬이 있는 사람은 그냥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번영한다. - 습관은 곧 우리 자신이다. 습관이 이렇게 중요한 것은 자기절제의 중추이기 때문이다. 습관은 삶을 도와주는 작은 장치들이다. 습관을 바꾸면 뭐든 바꿀 수 있다. 매일 그리스도와 만나는 방식을 바꾸면 삶이 변한다. 우리의 리듬은 매일의 의식이 된다. - 아리스트텔레서는 "우리가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다"라고 말했다. - ..

50부터는 인생관을 바꿔야 산다

1장. 50, 드디어 폭탄이 터지기 시작했다 50세 넘어 빠지기 쉬운 부정적 감정에 어떻게 대처할까? 후회는 그저 감미로운 추억일지도 모른다 50세 이후에 ‘생산적’이라는 게 큰 의미가 있을까? 언제까지 양심의 가책을 안고 살아야 할까? 도대체 질투라는 감정은 왜 생겨서 남을 부러워할 시기는 이미 지났다 당신의 인생 중간 성적표는 어떤가? 이제 ‘좋아요’는 필요 없는 나이 젊음과 경쟁하려 들면 나만 골병들지 - 인정하고 칭찬하면 질투심이 사라진다. 2장. 이제 난 남에게 신경 쓸 여유가 없거든!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을 때의 대처법 남에게 인정받는 것이 이렇게 기분 좋은 일이라니! 이게 내 힘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일인가? 시간의 치유력을 높이는 법 가슴속 응어리를 어떻게 풀까? 천재라고 질투하지 않는 건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p.8 모리 교수님이 이야기한 것처럼 "어떻게 죽어야 할지 알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알게 된다'라는 조언이 바로 이 책의 조언이다. p.36 여러분에겐 혹시 이런 스승이 안 계십니까? p.55 "이런 부질없는 일이 어디 있담! 거기 모인 사람들 모두 멋진 말을 해 주는데 정작 주인공은 아무 말도 듣지 못하니 말이야" 교수님은 그렇게 말했다. 그러고는 아주 멋진 생각을 해냈다. 그는 주변에 전화 몇 통을 건 후 날짜를 잡았다. 어느 추운 일요일 오후, 가까운 친구들과 가족들이 '살아있는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모리 교수님 댁에 모였다. p.83 무엇보다도 우리 무노하는 사람들에게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네. 우린 거짓된 진리를 가르치고 있어. 그러니 스스로 제대로 된 문화라는 생각이 들지 ㅇ낳으면 그것..

김영하 '여행의 이유'

p.51 기대와는 다른 현실에 실망하고, 대신 생각지도 않던 어떤 것을 얻고, 그로 인해 인생의 행로가 미묘하게 달라지고, 한참의 세월을 지나 오래전에 겪은 멀미의 기억과 파장을 떠올리고, 그러다 문득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조금 더 알게 되는 것, 생각해보면 나에게 여행은 언제나 그런 것이었다. p.64 '문학은 어떻게 내 삶을 구했는가'에서 데이비드 실즈는 이렇게 말했다. "고통은 수시로 사람들이 사는 장소와 연관되고, 그래서 그들은 여행의 필요성을 느끼는데, 그것은 행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슬픔을 몽땅 흡수한 것처럼 보이는 물건들로부터 달아나기 위해서다" p.81 무슨 이유에서든지 어딘가로 떠나는 사람은 현재 안에 머물게 된다. 보통의 인간들 역시 현재를 살아가지만 머릿속은 과거와 미래에..

탁월한 사유의 시선

제 1강 부정 : 버리다 - 철학적인 높이의 시선이야 말로 나와 사회를 한 단계 더 상승시킬 수 있다. 무엇이든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안목의 높이만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이다. 내용이 전술이라면 시선은 전략이다. 생각을 수입한다는 말은 수입한 그 생각의 노선을 따라서 사는 것을 의미한다. 내가 스스로 할 수 있기 위해서 먼저 특출하게 생각을 잘한 사람들이 남긴 생각의 결과들을 배우는 길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것을 넘어 자신들만의 고유한 생각을 나눠야 한다. 중국의 1840년의 아편전쟁은 동양에 대한 서양의 완전 승리, 서양에 의한 동양의 완전 패배를 의미한다. 그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1760-1840년 사이에 진행된 산업혁명에 있다. 바로 이것을 통화하여 경제구조가 변화하면서 제국주의..

세스고딘 '마케팅이다'

마케팅이다 국내도서 저자 : 세스 고딘(Seth Godin) / 김태훈역 출판 : 쌤앤파커스 2019.03.27 상세보기 고난주간에 읽고 있는 책이 '마케팅' 책이다. 책의 내용은 잘 모르지만 '세스고딘'이라는 저자 때문에 책을 구입했다. 책을 읽으면서 교회에 대한 생각을 참 많이 했다. 새로운 사회와 시대가 열리면서 교회 목회자들이 가져야 할 생각이 여기 담겨져 있다. 특별히 교회를 개척하려고 하는 분들은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모든 인간관계의 핵심요소 아버지

모든 인간관계의 핵심요소 아버지국내도서저자 : 스테판 B. 폴터 / 송종용역출판 : 씨앗을뿌리는사람 2007.01.02상세보기 7 가지 아버지 요인 문제 리스트 1. 수치심2. 자기 의심3. 집중력 부족4. 동기 부족5. 책임감 부족6. 정서적 미성숙7. 실패에 대한 두려움 5 가지 아버지 유형1. 성취지상주의 아버지 - 수치심에 기반한 성격을 발달시킨다= 수치심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 VS 통찰과 이해 2. 시한폭탄형 아버지 - 불안에 기반한 성격을 발달시킨다= 회피 VS 자신감 3. 수동형 아버지 - 우울, 무관심에 기반한 성격을 발달시킨다= 동기부족과 자기 의심 VS 용기와 성격적 강인함 4. 부재형 아버지 - 분노에 기반한 성격을 발달시킨다. = 분노와 윤리 VS 연민과 안정성 5. 배려하는 멘토..

팩트보다 강력한 스토리텔링의 힘

팩트보다 강력한 스토리텔링의 힘국내도서저자 : 가브리엘 돌란(Gabrille Dolan),야미니 나이두(Yamini Naidu) / 박미연역출판 : 트로이목마 2017.12.26상세보기 비즈니스 스토리텔링의 3가지 요소1. 목적을 가지고 있다.2. 데이타, 자료를 가지고 있다.3. 믿을만하다. * 논리는 사람을 사고하게 만들지만, 감정은 사람들을 행동하게 만든다 - 지그 지글러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모델1. 로고스(논리)2. 에토스(개인의 신뢰도와 성품)3. 파토스(감정적 연계) 4가지 스토리텔러1. 회피자 (낮은 참여도와 낮은 목적의식)2. 조커 (높은 참여도와 낮은 목적의식)3. 리포터 (낮은 참여도와 높은 목적의식)4. 격려자 (높은 참여도와 높은 목적의식) 스토리를 만들기 전에 자신에게 던져야 할 ..

[ 4월 셋째-넷째 주] 서양문명 이야기 '신'

신국내도서저자 : 김용규출판 : IVP 2018.03.28상세보기 인문학자 김용규 선생님의 책은 참 탁월하다. 예전에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이라는 책을 읽을 때는 무슨 말인지 잘 이해를 못했는데역사와 인문학에 대한 공부를 하고 나서 증보개정판인 '신'이라는 책을 읽으니 무척이나 유익하고 좋았다. 인문학적으로 종교를 접근한다는 것....인문학적으로 종교를 설명한다는 것....그것이 참 매력이 있다. 생각의 시대도 참 탁월했지만'신' 역시도..... 또 한 번의 생각의 지평을 넓혀준 김용규 선생님께 감사를 드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