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5 이런저런 이야기/INSIGHT

[페북퍼옴]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히스토리 요약

꿈꾸는꼬목사 2021. 8. 23. 07:34

Dong Keun Lee

12시간 

정치망에 걸려든 대어.

뉴스피드에서 잡아온...

/////////////////

///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히스토리 요약 ///

1. 아프가니스탄은

인도양 진출의 부동항을 원하던 소련의 대양 진출로에 위치함.

2. 소련은 대양으로 가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아프카디스탄을 군사적으로 지원함.

3. 아프가니스탄 군부는 소련에서 군사교육을 받고 돌아온 후, 1978년 쿠데타를 일으켜 공산정권을 수립 함

4. 아프가니스탄 인민들은 이슬람 수니파가 주류 였기에, 무종교인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군부의 집권에 반감을 가지게 됨.

5. 이슬람 수니파 부족집단을 중심으로 공산정권에 저항하는 내전이 시작되었고, 이들 반군 게릴라들을 무자헤딘이라 부르게 됨.

6. 1979년 3월. 아프가니스탄 정부 주력군 17사단이 반군으로 이탈합류 함

7. 17사단에 와 있던 소련 군사고문단, 간호사, 군인가족 500명이 반군들에게 학살당하고, 이들 시체가 막대기에 꽂혀 거리에 전시됨.

8. 1979.12.24일 크리스마스 이브날 새벽. 이 사건을 빌미로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을 전면 침공함.

9. 전쟁개시 3일만인 12.27일에 아프가니스탄 대통령궁을 소련 특수군인 스페츠나츠가 습격해서 대통령 호위 200명과 아민대통령 및 가족들을 모두 사살함

10. 사고는 정부군에서 반군으로 돌아선 군인들이 쳤는데, 소련은 반군이 아니라 정부군을 쳐버리고 정권을 장악함.

11. 그때까지 정부군과 싸우던 반군 무자헤딘의 타겟이 정부군에서 소련군으로 바뀜.

12. 무자헤딘이 산악지형을 이용해서 게릴라전으로 소련군을 공격하기 시작함

13. 소련군이 단순하게 학살당한 파견군 가족들을 복수하려고 침공한 것은 아님

14. 아프칸을 먹으면 소련이 패권국 유지를 위한 필수 아이템인 부동항에 접근하는 것임

15. 아프가니스탄과 붙어있던 파키스탄이 긴장을 함

16. 소련이 원하는 부동항이 파키스탄에 있었기때문임

17. 전략요충지 과다르항임.

18. 과다르항은 자연 수심이 14.5미터라 항공모함까지 들어올수 있는 파키스탄에는 유일한 수심깊은 항구 였음

19. 원래 과다르항은 오만의 소유로 아무도 신경쓰지않는 어촌 이었음

20. 미국 지질조사국이 파키스탄을 조사하다가 과다르항의 가치를 발견함.

21. 수심이 깊어 항공모함등 어떤 큰 배도 들어올 수 있고, 석유등 에너지 수송로의 길목에 위치한 핵심 요지가 과다르항이었음

22. 파키스탄이 오만에 11억불을 주고 이지역을 구입하였고, 가난한 파키스탄이 지불할만한 액수가 아니라, 돈의 출처는 CIA였음.

23. 미국은 소련에 대항해서 서아시아에 파키스탄을, 동아시아에 한국을 키워주던 시기였고,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는 좋았었기에 가능했음

24.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점령에 파키스탄은 긴장하는 정도였지만, 수니파의 대빵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 각국들은 분노를 함

25. 단순하게 소련이 아프칸을 침공한게 아니라, 이슬람 수니파 국가가 신을 부정하는 공산주의국가에 침공을 당했다며 분노를 한 것임.

26. 이슬람 국가에 악의 무리가 쳐들어 왔다고 하며, “이슬람 청년들이여 성전이다!”라고 성전을 선포함

27. 피 끊는 아랍 청년들이 성전에 참여하여 무자헤딘에 합류를 함

28. 소련의 아프칸 침공에 빡친 미국은 한번도 다른나라에 주지 않았던 스팅어미사일을 무자헤딘에게 제공하는등 파키스탄을 통해 최첨단 무기를 무자헤딘에게 공급해줌

29. 소련은 10년간 아프칸 전쟁에 62만명을 투입해서 15000명의 전사자를 내며 퇴각을 함

30. 소련이 퇴각하자 아랍지역에서 모여든 무슬람들은 자기나라로 돌아갔고, 아프가니스탄은 무자헤딘과 지방 군벌들이 뭉쳐서 무법천지가 됨.

31. 사우디에서도 많은 청년들이 아프칸으로 갔고, 소련과의 전쟁이 끝난후 사우디로 돌아옴.

32. 전투경험과 전투력이 짱짱한 실업자 전투집단이 사우디로 복귀한 것임.

33. 돈 많은 사우디 재벌3세이자 종교 원리주의자인 사우디인 한명이 이들을 모아서 자금을 지원하고 계속 훈련 시킴.

34. 빈 라덴 이었음.

35. 빈 라덴은 이들 조직의 대빵이 되고, 알 카에다라고 이름을 붙임.

36. 파키스탄도 알카에다처럼 키우던 세력이 있었음

37. 성전을 하기위해 모인 아랍 청년들은 사우디가 지원한돈과 미국이 지원한 무기로 파키스탄 안에 베이스캠프를 만들었고, 파키스탄이 이들을 훈련시킴

38. 탈레반 이었음

39.탈레반은 학생 이라는 뜻임. 이슬람교에 푹 빠진 청년들로 이들에게 군사교육을 시켜 아프칸에 보낸 것임

40. 사우디의 돈, 미국의 무기, 죽음을 겁내지 않는 광신도가 결합되자 탈레반은 강력한 군사집단이 됨

41. 아프가니스탄에서 이들은 주민들의 열광적인 환영을 받게 됨.

42. 광신도라 과격하지만 깨끗은 함. 모든일을 코란 율법대로 처리함. 코란에서 죽을 죄라면 죽였고, 돌로 쳐죽이라면 돌로 쳐죽임

43. 잔인하고 과격한 강압적 질서로 아프칸 통치가 시작됨.

44.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함.

45. 이라크의 쿠웨이트 다음 타겟은 사우디라고 생각한 사우디 왕가는 미국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함.

46. 미군이 사우디에 들어왔고, 이라크전이 끝났지만, 사우디 왕가는 앞으로도 같은 상황이 재발할 수 있다고 보고 계속 미군 주둔을 요청함.

47. 사우디는 두 집단이 합쳐서 만든 나라임.

48. 사우디 왕가와 종교 원리주의 집단이 합친 것임.

49. 종교 원리주의 집단은 자기들을 종교적으로 건드리지만 않으면 사우디 왕가가 정권을 잡고 해먹는것에 반발하지 않았음.

50. 사우디 왕가가 미군을 주둔시키자 상황이 달라짐.

51. 사우디의 종교 원리주의자들의 시각으로는 소련과 마찬가지로 미국이 신성한 이슬람국가를 침공한 이교도가 됨.

52. 사우디 종교 원리주의자들이 지원을 받는 알 카에다는 타도대상을 소련에서 미국으로 바꿈.

53. 이들은 수단에 베이스 캠프를 만들고 반미성전을 시작함.

54. 이들이 결국 사고를 침.

55. 911테러 였음.

56. 미국은 테러범들에 대한 추적을 시작하였고, 빈 라덴을 포함한 핵심 조직원들은 소련과 싸웠던 익숙한 전장인 아프카니스탄으로 도피를 함.

57 미국은 아프카니스탄의 탈레반에게 빈 라덴을 내 놓으라고 했지만, 탈레반은 단칼에 거절함.

58. 탈레반 대빵의 딸과 빈 라덴의 아들이 결혼을 한 사돈집안 일 정도로 이들의 관계는 종교와 핏줄로 엮인 끈끈한 전우 였기 때문임.

59. 탈레반이 빈 라덴을 내놓지 않자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전을 시작했고, 탈레반 정권을 무너뜨리고, 빈 라덴을 사살함.

60. 미국은 빈 라덴을 사살하며 아프칸전을 애초에 시작한 목적을 달성하고나니 , 미국입장에서 아프가니스탄은 돈쓰는 하마 국가가 됨.

61. 중국과 국익을 건 큰 전쟁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아프칸의 미군 전력을 중국을 타겟으로 재배치가 필요해 지기도 함.

62. 파키스탄의 과다르항은 결국 중국이 먹음. 30년 장기임차지만, 30년뒤에 돌려줄 것 같지 않음.

63. 중국은 일대일로로 LNG인수기지를 과다르항에 만들고, 과다르항과 중국간 원유, 가스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있음.

64. 아프칸을 장악한 탈레반의 다음 적은 아프가니스탄내 탈레반에 대항하는 타종족과 중국, ISIS 정도가 될 것임.

65. 탈레반은 종족으로는 인도계 파수튠족으로 아프가니스탄의 40%정도를 차지하는 수니파 종족임.

66. 아프가니스탄내 파수튠족이 아닌 타종족들은 아프칸 북부산악지역에서 반군을 만들고 있고, 탈레반과 이들의 내전이 시작될 것임.

67. ISIS도 탈레반과 하늘아래 2명의 칼리프가 있을 수 없다며 서로에게 성전을 선포하며 원탑을 먹기 위해 싸우기 시작함.

68. 중국은 신장 위구르에서 이슬람 모스크를 8500개나 파괴하는등 반 이슬람 정책을 쓰고 있어, 아프칸에 집결될 이슬람 종교 극단주의자들의 타겟이 될 것임.

69. 중국은 탈레반이 중국 지원을 받으며 아프칸내 타종족과 내전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것이고, 미국은 탈레반이 신장 위구르의 이슬람 탄압 저항세력을 지원해서 중국을 괴롭히기를 바랄것임.

출처: https://www.facebook.com/Dr.golf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