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나눔 6

PRE STEP 개정판을 마무리하며

지난 주에 STEP1의 개정판을 마무리하고, 이번 주는 명절기간이지만 PRE STEP의 개정판을 마무리하고 있다. 벌써 3번째 개정;;;; 우리 성도들과 직접 나누면서 수정 보완하고, 내용들을 추가하면서 마무리하고 있다. 돌아보면 내가 아무리 머리를 굴려도 실제로 성도들과 복음나눔을 하면서 경험하는 것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다. 많은 지식은 있지만 거의 초신자와 같은 성도들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어떻게 풀어가야하는지, 참 많은 고민을 하면서 정리하게 된다. 아무리 생각해도 교회 새가족에게 최고의 교재가 될 듯 싶다! 또 혼자 흐뭇해한다^^ 그리고 STEP1이 마지막 개정인 것처럼 PRE STEP도 마지막 개정이 되기를....!!

복음나눔 STEP 1 최종 수정을 마무리 하면서

복음나눔을 시작한지 10년.... A4 한장씩 나눴던 내용이 교재가 되었고, 벌써 6번의 개정을 거쳤고, 이제 마지막 개정을 마무리했다. 처음에는 5과로 진행되었고, 그러면서 PRE STEP이 만들어지면서 STEP1은 4과가 되었고, 그러면서 STEP2, 3가 만들어졌다. 복음나눔은 내가 하나님을 알아가는 과정이었다. 복음나눔을 하면서 치열한 나와의 싸움을 해야 했고, 그렇게 깨어지면서 하나님을 알아갔고, 그것은 끊임없이 영적 지경을 넓혀갔다. STEP1이 시작이었지만 여기에서 너무 많은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STEP 2로, 3로 한걸음씩 나아갈 수 있었다. 중간에는 STEP1에 너무 많은 내용을 넣다보니 너무 많아졌고, STEP2, 3와 구분하면서 STEP1의 내용을 이제서야 정리했다. 앞으로 STEP1..

감정연습 by 박용철

p. 17 우리가 내리는 판단이나 느끼는 감정은 단지 우리가 인식하는 요소들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게 확실합니다. 나의 사고방식과 감정에는 내가 모르는 요소들이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p.17 내 마음을 조종하는 것은 첫째, 각자의 과거 경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둘째, 현재 내 마음 속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p.31 아이는 태어나서부터 많은 신하들을 거느리게 됩니다. 가족이라는 이름의 어른들 말입니다. 그런데 자라면서 아이는 '마음먹은대로만 이루어지지 않는구나'하는 좌절을 통해 욕구를 말로 표현하는 법을 배워갈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는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이거싱 나의 욕구인지 엄마의 욕구인지 구분이 모호해집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른들의 세..

내 영혼은 무엇을 갈망하는가? by 존 오트버그

p.26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슨 일을 하느냐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되느냐인비다. 영원히 남는 것은 존재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멋진 우주에서 영원한 운명을 지닌 무한한 영적 존재입니다. p.29 나는 내 영혼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싶었다. 한 얼굴이 내 영혼을 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싶었다. p.53 가장 안쪽에 있는 그 원은 인간의 선택 능력, 곧 의지다. 의지는 결혼이나 이사같이 단순하고 큰 약속은 척척 해내지만, 우리 안에 깊이 뿌리내린 버릇과 습성과 태도를 고치는 데는 젬병이지. 의지력으로 영혼을 함양하려고 했다가는 자네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까지 녹초를 만들거야. 두번째 영역은 정신이야. 고대에는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하나로 묶어 정신이라고 했어. 내가 말하는 생각이란 사람이 사물..

새로운 나를 여는 열쇠 by 제프리 E. 영

스키마의 의미는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삶을 살아오면서 보고, 들은 정보들이 달라 마음의 길이 다른데 개인 고유의 심리도식을 만든다. 그 사람의 심리, 말, 행동을 통해 드러난다. 제프리 영은 이것을 '인생의 덫'이라고 말한다. 제 1부 p.13 인생의 덫은 어린 시절에 시작되어 일생 동안 반복되는 패턴이다. p.18 인생의 덫을 전문적인 용어로는 '도식'이라 한다. 도식이라는 개념은 인지치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도식은 자기 자신에 관한 느낌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p.24 인생의 덫 치료법은 1960년대에 아론 벡에 의해 개발된 인지치료의 한 갈래이다. 인지치료의 기본적인 저네는 우리가 생각하는 바(인지)가 느끼는 바(정서)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정서적인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현실을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