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말씀이야기/매일성경묵상

스가랴 환상과 요한계시록 환상의 공통점

꿈꾸는꼬목사 2025. 8. 4. 05:13

스가랴서의 환상과 요한계시록의 환상은 구약과 신약의 대표적인 묵시 문학으로서, 시대를 넘어 서로 깊이 연결되며 수많은 공통점을 공유합니다. 요한계시록이 스가랴서의 상징과 주제를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킨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주요 공통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상징적 이미지의 공유

두 책 모두 상징적인 이미지를 풍부하게 사용하여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여러 상징이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공통 상징 스가랴서 요한계시록
네 존재 (말/병거) 네 병거 (붉은 말, 검은 말, 흰 말, 어룽진 말)가 온 땅을 순찰하며 하나님의 심판과 통치를 수행합니다 (슥 6:1-8). 네 생물과 네 말 (흰 말, 붉은 말, 검은 말, 청황색 말)이 등장하여 인을 떼는 재앙을 통해 심판을 집행합니다 (계 6:1-8).
촛대 (등잔대) 순금 등잔대와 그 곁의 두 감람나무는 기름 부음 받은 두 지도자(스룹바벨과 여호수아)를 상징하며, 성령의 능력으로 교회가 세워질 것을 보여줍니다 (슥 4장). 일곱 금 촛대는 일곱 교회를 상징하며, 주님께서 교회 가운데 거니시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두 증인은 두 감람나무와 두 촛대로 묘사됩니다 (계 1:12-20, 11:4).
측량줄 한 사람이 측량줄을 가지고 예루살렘을 측량하며, 이는 하나님의 보호와 회복, 그리고 성곽 없는 도시로의 무한한 확장을 상징합니다 (슥 2:1-5). 요한이 성전과 제단과 그 안에서 경배하는 자들을 측량하며, 이는 환난 가운데서도 당신의 백성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상징합니다 (계 11:1).
두루마리 날아가는 두루마리는 온 땅에 내리는 저주, 즉 도둑질하고 거짓 맹세하는 자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합니다 (슥 5:1-4). 하나님의 손에 있는 일곱 인으로 봉해진 두루마리가 등장하며, 오직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만이 그 인을 떼고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펼치실 자격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계 5장).
대제사장 더러운 옷을 입은 대제사장 여호수아를 사탄이 고발하지만, 하나님은 그의 죄를 사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혀 주십니다. 이는 죄의 용서와 회복을 상징합니다 (슥 3장). 성도들이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된 모습으로 나타나며,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말미암는 속죄와 정결함을 강조합니다 (계 7:14).
 

2. 주제의 유사성

상징뿐만 아니라, 두 책이 다루는 핵심 주제에서도 깊은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 두 책 모두 역사의 주관자는 세상의 권력이 아니라 만군의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강력하게 선포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온 땅을 감찰하시고(스가랴의 말들), 당신의 계획에 따라 심판과 구원을 이루십니다.
  • 회개와 회복의 촉구: 스가랴가 포로 귀환 공동체에게 "내게로 돌아오라"고 외쳤듯이, 요한계시록도 일곱 교회에 회개를 촉구하며 이기는 자에게 주어질 약속을 제시합니다.
  • 메시아(그리스도) 중심: 스가랴는 '순(Branch)'이라 불리는 메시아, 고난받는 종이자 겸손한 왕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예언했습니다 (슥 3:8, 6:12, 9:9). 요한계시록은 이러한 예언이 성취된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 만왕의 왕이시며 심판주로 다시 오실 그분께 모든 초점을 맞춥니다.
  • 천상 회의와 천사의 역할: 두 책 모두 천사가 환상을 해석해주고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탄이 참소하는 모습(슥 3:1)과 하늘에서 쫓겨나는 모습(계 12:9) 등 천상에서의 영적 전쟁을 묘사합니다.
  • 예루살렘(새 예루살렘)의 최종적 영광: 스가랴는 회복될 예루살렘의 영광을 예언했습니다. 요한계시록은 이를 새 하늘과 새 땅의 중심인 '새 예루살렘'으로 확장하여,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과 영원히 함께 거하시는 최종적인 구원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계 21장).

이처럼 스가랴의 환상은 요한계시록의 환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신학적, 문학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요한은 스가랴의 상징과 주제를 가져와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과 재림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심화시킴으로써, 시대를 초월하여 모든 성도에게 소망과 위로를 주는 하나님의 최종적인 승리의 메시지를 선포하고 있습니다.